2금융권 토담대 연체율 14.4% 넘어…저축銀은 18%대
증권사 PF 연체율 처음으로 20% 넘어서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저축은행과 캐피탈,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에서만 취급해온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잔액이 큰 폭으로 줄었지만 연체율이 14%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전분기 대비 3.56%로 소폭 오른 가운데 증권업계 연체율은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2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올해 2분기 기준 PF대출 및 토담대 연체율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2금융권 토담대 잔액은 24조1천억원으로 3월 말 대비 3조9천억원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7조6천억원 줄었다.
그러나 2분기 기준 토담대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1.46%포인트(p) 오른 14.42%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8.34%p 급등한 수치다.
토담대는 제2금융권에서만 취급하는 것으로,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상품이다.
사업성으로 대출을 내어주는 브릿지론과 유사하지만, 규제 수준이 낮고 정확한 수치가 공개되지 않아 규제 사각지대로 거론됐다.
앞서 금융당국은 1분기 토담대 연체율을 처음으로 공개한 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수치를 공개했다.
업권별로 저축은행 토담대 연체율이 전 분기보다 1.52% 감소한 18.66%를 기록했다.
여신전문은 13.53%, 상호금융은 11.50%로 각각 2.49%p, 4.58%p 상승했다.
은행, 증권, 보험 등을 포함한 전 금융권 PF 대출 잔액은 132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PF 대출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0.01%p 오른 3.56%였다.
특히 증권업계 PF 대출 연체율은 20.02%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분기 대비 2.45%p 오른 수치다.
증권업계는 증권사 자체 자금 6천억원을 투입해 3조3천억원 규모의 PF 재구조화 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외에 은행(0.68%), 보험(1.46%), 저축은행(12.52%) PF 대출 연체율은 각각 0.16%p, 0.28%p, 1.26%p 올랐다.
같은 기간 여신전문사는 0.89%p 하락한 4.37%, 상호금융은 2.81%감소한 0.38%였다.
금융위는 사업성 평가 및 사후 관리 계획에 따라 부실 사업장들의 재구조화·정리가 이뤄질 경우 향후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하락·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대 5조원 규모의 은행과 보험업권이 조성한 'PF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도 조만간 첫 대출을 실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위는 "(신디케이트론 관련) 여신 심사 등 내부 취급 절차가 진행 중인 사업장이 있다"고 밝혔다.
sg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