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부채 현황판' 나왔다…정밀 조준 관리 가동

2024-11-01     정원 기자

금융당국, 관리목적 DSR 데이터 취합 완료

 

가계부채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억제 수단 중 하나로 제시했던 내부 관리목적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취합·분석 작업을 일차적으로 완료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9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별 DSR 데이터 분석을 완료하고서 최근 금융위원회와도 관련 내용을 공유했다.

그간 은행권은 내부적으로 DSR 수치들에 대한 자체 관리는 해 왔지만, 취합·분석 방식이 세부적이지 않았던 데다 금융당국과도 해당 수치들을 별도로 공유하진 않았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 8월 20일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DSR 산출에 가산금리를 추가하는 방안과 함께 내부 관리목적 DSR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거시 건전성 대책을 제시하면서 관련 작업도 시작됐다.

내부 관리목적 DSR의 핵심은 일반 주택담보대출 뿐 아니라 DSR이 적용되지 않았던 보금자리론·디딤돌 등 정책모기지 대출, 중도금·이주비 대출, 전세대출, 총대출액 1억원 이하 대출 등에 대한 DSR 정보도 상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담보별, 지역별, 정책·신용·전세대출 등 대출 종류를 나누는 것은 물론, 차주소득을 최대한 세분화해 대출 종류와 매칭하는 구조로 산출된다.

이번에 금감원이 만든 내부 관리목적 DSR 분석 프레임을 활용할 경우 가계대출별 특이사항에 대한 '맞춤형' 접근이 가능해지게 되는 셈이다.

그간 은행마다 내부적으로 중점 관리 섹터 등이 상이한 데다, 관리 양식까지 달랐던 점은 가계부채의 종합적 관리의 애로사항이었다.

다만, 이번 취합을 계기로 은행권 전체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해진 만큼 정책적으로 일관된 기조를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제출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난 9~10월 두 달간 취합·분석 작업에 몰두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차주의 소득 수준에 대한 정보를 대출 유형에 취합·매칭하며 분석 수준을 끌어올리는 작업에 많은 시간·자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금융당국은 은행권이 매달 제출하는 DSR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면서 이번에 완성된 관리목적 DSR 프레임을 가계부채 관리의 '현황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그간 소득과 가계대출을 연계해서 파악할 수 있는 프레임이 없었는데 이번에 관련 작업을 완료하게 된점은 의미가 크다"며 "분석 결과들을 어떤 식으로 활용할 지는 데이터들을 보다 정교화하면서 추후 논의하겠다"고 전했다.

jw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