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세금 깎아 달란 것보다 기업 필요한 것 뭐든 다 할 것"
(서울=연합인포맥스) 황남경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국내 주요 그룹 총수와 만나 "규제 완화 또는 해제, 철폐 중에서 가능한 것이 어떤 것이 있을지 지적해주시면 제가 신속하게 정리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제가 세금 깎아달라 이런 얘기는 별로 안 좋아하긴 하는데, 세금을 깎아가면서 사업을 해야 될 정도면 사실 국제 경쟁력에 문제가 있다. 그런 것보다 여러분께서 정말 필요한 제일 큰 게 규제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뭐든지 할 수 있는 건 다할 테고 재정 투자도 마찬가지"라며 "R&D 개발 또는 위험 영역에 투자해서 우리 재정이 후순위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우리가 인수한다든지, 손실을 선순위로 감수한다든지 이런 새로운 방식들도 저는 얼마든지 도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그래서 모험적 투자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그런 방식도 동원해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노동과 경영이 상호 보완적이고 상생적인 요소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노동과 경영이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립적이지 않다"며 "근본적으로 노동 없이 기업 하기 어렵고, 기업 없이 일자리 노동이 존립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상호보완적이고 상생적 요소가 언제부터인가 너무 적대화되고 있는 것 같다"며 "한편으로 제가 노동계에서도 비슷한 얘기를 합니다만 기업 측면에서도 임금 착취라는 소리를 들어가면서 노동 비용을 줄여서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나, 그런 점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첨단 산업, 첨단 기술산업 같은 경우 사실 역량이 문제지 인건비 액수 차원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정부 입장에서 많이 키워야 한다. 글로벌 경쟁을 해야하는 대기업 같은 경우는 그 비중도 매우 적을 것이고 그래서 그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관용적이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또 "우리가 한번은 고용 유연성 문제, 고용 불안정에 대한 노동자들의 공포를 해결하려면 사회 안전망을 강화해야 하는데 그 재원 조달하는 문제 이런 것들을 터놓고 논쟁을 통해 일정한 합의에 이르러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재명 대통령,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정관 산업부 장관. 2025.11.16 superdoo82@yna.co.kr
nkhwa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