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보험사 '듀레이션 갭' 산출 기준 정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금융당국이 듀레이션 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 보험사에 이를 적용하도록 했다.
오는 2027년부터 듀레이션 갭 규제 도입에 앞서 관리 행태 점검을 예고한 만큼 듀레이션에 대한 정의와 관리 역량 등을 확인해 규제 수준을 정하기 위해서다.
20일 보험업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해외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해 듀레이션 갭 기준을 마련했고, 3분기 수치부터 보험사에 적용하도록 했다.
듀레이션은 시장금리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나타내며, 듀레이션 갭은 자산 듀레이션과 부채 듀레이션의 차이를 말한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듀레이션 갭은 금리부 자산 대비 금리부 부채의 비율을 부채 듀레이션에 반영한 뒤 이를 자산 듀레이션과 비교하는 것이다.
자산 듀레이션과 부채 듀레이션이 같다 하더라도 부채 익스포저 비중에 따라 부채 듀레이션이 달라진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인 만큼 이 비중을 부채 듀레이션에 반영하고, 금리 변화에 따른 실질 영향을 측정하고자 한 것이다.
금리부자산 및 부채는 채권 등 금리가 자산 가치에 반영되는 자산 및 부채를 말한다.
보험사의 금리 리스크가 금리 변동에 따른 자본 가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인 만큼, 실질적인 금리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선 금리부자산 및 부채와의 비교가 필요한 셈이다.
금융당국은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관된 기준으로 보험사에 듀레이션 갭 산출을 요구했다.
듀레이션 갭 규제 도입에 앞서 관련 공시도 이뤄져야 하는 만큼 선행적으로 기준 초안을 제시해 적용하도록 한 것이다.
당국이 제시한 듀레이션 갭 산식이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되는 것인 만큼 이를 적용한 보험사도 있었으나, 각 사별로 단순히 자산 듀레이션과 부채 듀레이션을 비교한다거나 자산의 금리 민감도와 부채의 금리 민감도를 비교하는 식으로 듀레이션 갭을 구하기도 했다.
듀레이션 갭 초안이 제시되면서 일부 보험사들은 3분기부터 조금 더 개선된 듀레이션 갭을 산출할 수 있게 됐다.
금융당국은 내년까지 보험사들의 듀레이션 갭 추이와 관리 수준을 지켜본 뒤 적정한 한도의 듀레이션 갭에 대해서 규제 수준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각각의 방식으로 듀레이션 갭을 산출했으나, 향후 공시까지 이뤄져야 하는 항목인 만큼 표준적인 방법을 통해 비교할 수 있도록 맞추도록 했다"고 말했다.
sylee3@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