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라인, 스틱인베에 공개주주서한…"차세대 승계 계획 발표하라"

2025-11-24     이규선 기자

"ROE 0.3% 불과…현금 제외한 플랫폼 가치 저평가 심각"

승계 계획 발표·이사회 독립성 강화 등 6대 과제 제안

(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선 기자 =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하 얼라인)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에 공개 주주서한을 보내 차세대 승계 계획을 포함한 구체적인 기업가치 제고 대책을 요구했다.

스틱인베스트먼트의 지분 7.63%(318만499주)를 보유한 주요 주주인 얼라인은 24일 이사회에 발송한 공개 서한에서 "오는 2026년 1월 19일까지 6가지 제안 사항을 고려한 밸류업 플랜을 발표해달라라"고 촉구했다.

얼라인은 지난해 2월 주주가 된 이후 경영진과 수차례 비공개 미팅을 가졌으나 의미 있는 진전이 없어 공개 캠페인으로 전환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얼라인은 우선 스틱인베스트먼트의 현 주가 수준이 펀더멘털 대비 과도하게 저평가돼 있다고 지적했다.

얼라인 측 분석에 따르면 스틱인베스트먼트의 시가총액(약 3천630억원, 유통주식수 기준)에서 현금 및 투자자산(2천73억원)을 차감하면 실제 사모펀드 운용사로서의 플랫폼 가치는 약 1천557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10조5천억원에 달하는 운용자산(AUM) 규모와 26년의 업력을 고려할 때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최근 12개월 기준 자본수익률(ROE)이 약 0.3%에 그치고 있어 운용사로서의 자본 효율성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얼라인은 이러한 저평가 해소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차세대 리더십 승계 계획 발표 ▲임직원 보상 목적을 제외한 잔여 자기주식 전량 소각 ▲보상 체계 개편을 통한 이익률 개선 ▲운용사 차원의 적정 레버리지 활용 ▲중장기 성장 전략 발표 ▲이사회 독립성·전문성 개선 등 6가지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특히 거버넌스 측면에서 현 핵심 경영진의 연령이 대부분 60세 이상임에도 명확한 승계 계획이 부재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글로벌 운용사인 KKR이나 아폴로(Apollo) 등의 사례를 참고해 차세대 리더십 계획을 미리 발표하고 이에 연동된 주식 보상 시스템을 도입해 주주와 경영진의 이해관계를 일치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사주 정책과 관련해서는 지난 21일 스틱인베스트먼트가 공시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부여 계획에 대해 "주식 보상 비중 확대를 지지한다"면서도 "구체적인 세부 내용과 목적에 대한 소통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향후 주식 보상으로 사용될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기보유 자사주는 즉시 소각해 지배구조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창환 얼라인 대표는 "한국 사모투자 업계가 침체된 현 국면은 위기"라면서도 "지금이야말로 핵심 개선 과제 중심으로 내부를 정비하고 구조를 개혁해 다가올 기회를 선점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틱인베스트먼트 이사회와 경영진의 심도 있는 검토를 촉구하며, 제안 내용을 포함한 종합적인 장기 성장 전략과 보상 정책이 발표되기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스틱인베스트먼트 로고
연합뉴스

 

ks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연합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