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올해 수출 120조 전망…주역은 SK하이닉스
3Q 누적 87.8조…작년보다 20% 성장
SK하이닉스 65% 기여…전체 수출 이끌어
최태원式 사업·재무·지배구조 개선 '성과'
(서울=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SK그룹의 올해 수출이 역대 최대 규모인 120조원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SK하이닉스[000660]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기록적인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은 결과다. 이 경우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출 100조원대를 달성하게 된다.
SK그룹은 올해 3분기까지 수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87조8천억원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수출 실적(73조7천억원) 대비 20%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이 같은 성장세가 4분기에도 이어질 경우 올해 전체 수출액은 지난해(102조5천억원)를 훌쩍 뛰어넘어 12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SK그룹은 전망했다.
주역은 SK하이닉스다. 그룹은 SK하이닉스의 HBM 등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2년 연속 100조원대 수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그룹 수출의 54%(55조2천억원)를 견인했다. 올해는 3분기까지 65%(56조7천억원)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의 수출 실적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데 영향을 줄 만큼 '국가 성장 엔진'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은 1천850억 달러로, 관련 통계를 작성한 지난 2010년 이후 최대 규모다. HBM 등 고부가 메모리가 466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는 경영 실적을 토대로 국가 세수 확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낸 법인세가 4조3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40억원보다 무려 약 45배 늘었다.
SK그룹이 수출과 납세 등에서 국가 경제 기여도가 높아진 배경에는 최태원 회장이 수년간 추진해온 구조개선 노력이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최 회장은 미래 성장사업을 발굴하고 한계사업을 정리하는 등 사업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적자기업을 턴어라운드하는 작업에도 열심이다.
특히 지난 2012년 SK하이닉스를 인수하며 에너지와 정보통신(ICT) 중심의 사업구조에 반도체, 인공지능(AI), 바이오 등을 추가하며 결정적인 전환점을 맞았다.
SK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SK그룹은 AI,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 등 미래 성장사업을 중심으로 투자와 고용을 이어가며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며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하고 연간 8천명 이상의 채용 또한 지속해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sjyo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