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준감위원장, 삼성전자 정보 유출 논란 "살펴볼 계획"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삼성전자의 내부 정보 유출 논란에 대해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찬희 위원장은 25일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정보 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그것이 혹시 어떤 위법한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계획에 있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 지부(초기업노조)는 삼성전자의 내부 문서공유시스템(EDM)에서 민감정보가 방치된 채 누구나 열람·다운로드할 수 있는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해당 문제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공식 신고했으며 삼성 준감위에도 조사에 착수해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이에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서도 유사한 정보 유출 문제가 발생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건에서는 삼성전자의 사업지원실 인사 개입 의혹까지 불거졌다.
이 위원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내 개인정보 유출 건을 다룰지를 묻는 말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7개 협약사에 포함되지 않은 데다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이나 현 지분구조로는 상법상 자회사를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며 "오늘 위원회에서 차기 안건으로 다뤄볼 수 있는지를 위원들과 논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물산이 협약사인만큼 "관련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바라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삼성그룹 노동조합연대는 지난 19일 박학규 삼성전자 사업지원실 사장과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에게 면담을 요청했다.
이찬희 위원장은 사업지원실이 계열사들의 인사에 개입했다는 노조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아직은 사업지원실이 어떻게 운영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드릴 말씀이 없다"라면서도 "준법의 영역에서 만약 문제 되는 부분이 있을지는 계속 주의 깊게 지켜보겠다"고 답변했다.
이 위원장은 이번 삼성의 인사와 관련한 평가를 묻는 말에는 그동안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때문에 삼성이 기술 추구라는 부분에 있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던 부분이 있지 않았겠느냐고 객관적인 제삼자로서 생각해왔다"면서 "삼성이 기술 회사니까 기술 인재를 중요시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 위원장은 이재용 회장의 등기 임원 복귀 주장과 관련해 여전히 사견임을 전제로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ys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