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곽세연 정지서 기자 = 금융감독원이 4년 만에 한국투자증권[071050] 정기검사에 나선다.

업계 안팎에선 이번 검사가 고강도로 진행되리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사모펀드 사태를 둘러싼 논란이 잠잠해진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전산장애와 공매도 등 최근 업계를 흔든 이슈마다 한국투자증권이 거론돼왔기 때문이다.

2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한국투자증권 사전 검사에 착수했다.

사전 검사는 자료요청 등 원활한 검사 진행을 위한 준비 단계다.

금감원은 사전 검사를 바탕으로 내달 중 본격적인 정기 검사에 나설 방침이다. 현재 20여 명 정도의 인력을 2주가량 현장에 파견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전검사를 나간 단계로 본 검사는 아직"이라며 "사전검사 자료에 대한 1차 검토가 필요하다. 검토를 거쳐 내달부터 본격적인 현장 검사가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금감원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금융투자업권 내 5곳을 대상으로 한 정기검사를 계획 중이다.

증권사의 경우 지난 5월 키움증권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정기검사가 본격화됐다.

통상 증권사는 자기자본 규모와 시장 영향력 등을 고려해 2.5~5년 주기로 정기검사를 시행한다. 이중 발행어음 사업을 영위하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경우 3년 단위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한국투자증권이 마지막으로 정기 검사를 받은 것은 지난 2018년이다. 이후에는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하며 정기 검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그간 한국투자증권의 사업 전반을 전방위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업계에선 금감원이 최근 금리 인상과 맞물려 잠재 위험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자산·부채 간 포트폴리오 위험, 유동성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주가연계증권(ELS) 등에 대한 관리 실태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팝펀딩 펀드 사태 이후 한국투자증권의 후속 조치 등 그간의 사모펀드 관련 소비자 보호 실태 역시 금감원의 집중 검사 대상으로 거론된다.

최근 논란이 된 공매도와 전산장애 역시 금감원이 주목할만한 관심사다.

한국투자증권은 3년여간 차입 공매도 주문 과정에서 공매도 호가 표시를 위반한 이유로 지난 2월 과태료 10억 원을 부과받았다.

이를 두고 이복현 금감원장은 특정 증권사의 보유 주식과 특정 증권사 창구로 공매도 거래 쏠림 현상이 나타난 문제의 심각성을 직접 지적하기도 했다. 지난 22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 회의에서조차 6조 원 규모에 달했던 한국투자증권의 불법 공매도를 향한 솜방망이 처벌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정부가 불법 공매도와의 전쟁을 선포한 직후인데다, 한국투자증권의 공매도 규정 위반을 계기로 정치권과 투자자들의 비판 여론도 들끓고 있어 금감원이 이를 지나치기 어려 우리란 게 업계 중론이다.

잦은 전산장애 역시 금감원이 들여다볼 부분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카카오뱅크 상장 첫날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장애가 발생한 데 이어 최근 사옥의 전원 공급 문제가 발생해 또다시 전산장애가 발생했다.

금융투자업계 고위 관계자는 "최근 (한국투자증권이) 민감한 사안이 많았던데다 공교롭게 금감원의 정기검사 시기가 맞물렸다"며 "금감원이 사전예방적 성격의 검사로 전환했지만, 오랜만에 진행되는 정기검사이다 보니 강도가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7시 4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