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 보면서 원화채권 처분할 가능성도 작아



(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일본이 독도에 대한 보복조치로 한국채권의 매입을 중단하거나 매도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채권시장이나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무엇보다 일본이 보유한 원화채권 규모가 6천억원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그마저도 대부분 민간기관이 보유하고 있다. 일본에 채권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조치가 일본에도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미미한 일본의 원화국채 보유=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외국인이 보유한 원화채권은 89조6천528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 2010년 말 73조9천868억원이나 2011년 말 83조274억원에 비해서 크게 늘어난 것이다.

반면 일본이 보유한 원화채권의 규모는 2010년 말 7천434억원에서 2011년 말 7천410억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올해 7월 말 현재 6천167억원으로 축소됐다.

일본의 원화채권 보유규모는 지난 4월 '한중일 국채투자 프레임워크' 논의가 전개된 이후에도 오히려 감소했다. 일본의 원화채권 순투자가 지난 6월과 7월에 각각 960억원과 430억원 줄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 중앙은행이 아직 원화국채 투자에 나서고 있지 않다는 방증이다.

다른 외국인이 원화채권을 안전자산에 준하는 투자처로 지목하면서 적극적으로 매수하는 반면 일본이 매수에 미온적으로 대응하면서, 전체 외국인에서 차지하는 일본의 원화채권 보유비중도 감소하고 있다.

외국인이 보유한 원화채권에서 일본 투자자가 차지한 비중은 지난 2010년 말 1.00%에서 2011년 말 0.89%로 줄어든 이후 올해 7월 말 현재 0.69%로 축소됐다.









일본이 독도문제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원화채권 매입중단을 거론하는 것에 대해서 국내 정책당국이나 채권시장이 별로 반응하지 않는 이유다. 더욱이 현재 일본이 보유한 원화채권 대부분은 정부가 아니라 민간기관이 사들인 것이다.

▲손실 늘리면서 원화채권 매도하기도 힘들 듯= 설사 일본의 원화채권 보유규모가 크다고 하더라도, 일본이 채권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까지 매도로 대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스스로가 자기들이 사들인 투자자산의 가치를 갉아먹는 조치를 하기 어려울 것이란 이유에서다.

채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이 보복성 조치로 한국채권 매입중단 가능성을 거론했으나 그동안 매수하지도 않았던 원화채권을 사지 안겠다는 뜻"이라며 "가격을 끌어내린다고 하더라도 일본이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평가했다.

이는 "최근 독도문제와 관련해 일본에서 거론되는 대응조치에 대해서 금융시장은 일종의 정치적인 액션 정도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7년 당시 세계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도 미국 의회의 위안화 절상압력에 맞서 달러자산 매도에 나설 것이란 뜻을 비춘 바 있다.

그러나 당시에도 금융시장은 다분히 중국의 정치적인 행위로 치부했다. 중국이 한꺼번에 달러자산을 매각해 달러가치를 끌어내리면 가장 큰 손해를 보는 당사자는 미국이 아니라 대규모 달러자산을 보유한 중국이라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다만, 실현 여부를 떠나 일본이 한일 통화스와프이나 한국채권 매입중단을 거론했다는 점에서 국제관계에서도 매개체로써 금융의 영향이 커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