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차기 대통령에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면서 신임 한국은행 총재 인선이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인지에 금융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에서 국민의힘으로 정권이 교체된 만큼 현 정부와 새 정부 인수위원회가 어느 정도 교감할 수 있느냐에 따라 인선 속도도 달라질 전망이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 경제, 금융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신임 총재 인선이 늦어지면 금융시장에 혼선이 깊어질 수 있다.

차기 총재 후보군으로는 정치적 논란이 적은 한은 전·현직 임원과 금융통화위원, 국제기구에서 활약하고 있는 저명인사, 윤 당선인의 경제 참모인 김소영 서울대학교 교수 등이 거론된다.

◇정권 교체기에 경제 짙은 안개…총재 인선 서둘러야

10일 한은에 따르면 이주열 총재는 오는 31일 퇴임한다. 통상 3월 초 정도에 후보자가 발표되고, 인사청문회를 거쳐 4월 1일 자로 신임 총재가 부임하지만, 이번에는 여건이 복잡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대선 일자가 3월로 변경되면서 총재 임기가 정권 이양 기간과 겹쳤다. 특히 민주당에서 국민의힘으로 정권도 교체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임 총재 임명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윤 당선인 측과의 협의도 불가피하다.

청와대는 앞서 신임 총재 후보를 기초적으로 스크리닝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는 만큼 어느 정도 후보군은 추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윤 당선인이 문 정권을 '신적폐'로 규정하고 청산을 공언해왔다는 점이다. 양측이 초반부터 대립할 경우 총재 인선이 늦어질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견이 있더라도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적임자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데 입을 모은다.

급박한 대내외 환경을 고려하면 통화정책 수장 자리를 오래 비워두기 어려운 탓이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전방위 제재로 국제유가와 달러-원 환율이 치솟는 등 물가 여건이 심각하다. 일각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제기된다. 이 와중에 연준은 이달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이 확실시된다.

또 연초 집값이 다소 안정됐다고는 하지만, 대선 이후 어떤 방향으로 시장이 움직일지 여전히 불확실하다.

금융 및 거시경제 전반에 안개가 짙어진 상황에서 한은 총재의 부재는 통화정책 실기 우려를 키울 수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와 당선인 측의 갈등으로 한은 총재 후임 인선이 차질을 빚는다면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시장에 더 안 좋은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신임 한은 총재 임기는 4월 1일부터지만,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는 14일 열린다. 인선에 속도를 내면 금통위에서의 총재 공백 상황도 피할 수는 있다.

◇전·현직 한은 출신 무난 선택…윤 참모도 후보군

빠른 인선을 위해서는 전·현직 한은 임원이나 금통위원 등이 유력한 후보군으로 꼽힌다.

통화정책에 대한 이해가 깊은 만큼 위기 상황에서 빠른 정책 판단을 기대할 수 있다. 한은 출신의 경우 정파성도 미미한 만큼 현 정부와 당선인 측의 합의가 비교적 손쉬울 수 있다.

또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았고, 승진 등의 과정에서 검증을 거친 만큼 인사청문회에서 특별한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도 작다는 점도 장점이다.

장병화, 윤면식 전 한은 부총재와 이승헌 현 부총재 등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현직 금통위원인 임지원, 서영경 위원 등도 후보군으로 꼽힌다.

이밖에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수석이코노미스트나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도 매번 한은 총재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유력 인사다.

윤 당선인의 캠프 인사에서 총재 후보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윤 당선인 캠프에서 '국민과 함께 뛰는 경제정책본부장' 직을 맡았던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대표적인 인사로 거론된다.

학계에서는 연준 근무 경험이 있는 김진일 고려대학교 교수, 신관호 고려대학교 교수 등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jw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7시 5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