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이수용 기자 = 줄곧 폐쇄적인 지배구조를 지적받았던 BNK금융그룹이 '빈대인 체제'로의 전환을 계기로 경영진을 제대로 감시할 이사회 멤버에 과감한 변화를 줄지 관심이 쏠린다.

BNK금융은 그간 성과와는 무관하게 이사회 멤버에 대한 임기를 지나치게 보장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최근 이사회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어 대규모 변화에 나설 것인지 주목된다.

◇6명 중 5명 임기 만료…2+1 보장될까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은 올해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사외이사 후보 추천 절차를 진행 중이다.

BNK금융 사외이사 6명 중 5명이 오는 3월 임기를 마무리한다.

BNK금융 정관에 따르면 사외이사 임기는 2년 이내 및 연임 시 1년 이내로 하고, 연속해서 5년을 초과해 재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지난 2018년 3월 선임된 유정준 이사는 이번 주주총회를 끝으로 임기를 마친다.

BNK금융의 사외이사는 2+1의 임기를 대부분 보장해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6년 3월 선임된 차용규, 문일재 이사는 2021년 3월까지 5년간 재임했다.

이후로 선임된 사외이사들은 김영재 이사가 3년, 정기영 이사가 4년, 손광익 이사가 3년간 이사회에 자리했다.

2년의 기본 임기를 마친 인물은 김찬홍, 윤인태, 김창록 이사가 있다.

현 이사회에서는 유정준 이사 외에 허진호 이사가 지난 2019년부터 재임했다.

최경수, 이태섭, 박우신 이사는 2021년 3월 선임돼 2년의 임기가 마무리된다.

◇금융지주 지배구조 수술의 계기…변화 맞이할까

금융당국이 금융지주의 지배구조 및 이사회 역할에 대한 문제 제기를 시작하게 된 데는 BNK금융의 역할이 컸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김지완 전 회장에 대한 내부 부당거래 의혹이 제기됐고, 경영승계 과정에서의 지배구조 부적정성 문제가 불거졌다.

당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다른 금융지주와 임원 임명 절차에서 차이가 있는 건 맞다"며 "부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은 금융지주 회장 선임에 대한 투명성과 합리성을 강조하며 이사회를 압박해왔고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유능한 경영진의 선임이 이사회의 가장 중요한 권한이자 책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독립적인 권한을 통해 유능한 경영진을 선임하고, 이후에도 이들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것이 이사회의 역할이기 때문에 CEO 리스크가 불거질 경우 책임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이사회의 구성 변화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지주 회장의 '셀프 연임'과 관련해서도 이사회의 역할론이 크게 부각되기도 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새 회장을 맡아 BNK금융 내부에서도 혁신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느라 고민이 큰 것으로 안다"며 "당국의 권고를 수용해 변화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주기 위해서는 이사회에도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jwon@yna.co.kr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