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PF 대주단협약 마무리 점검 비공개회의
3분의2 동의 시 만기연장 등 내달 협의체 가동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이수용 기자 =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쇄 부실을 막기 위해 금융당국 주도로 전 금융권이 참여하는 대주단 협의체가 이달 말 본격 가동한다.

건설사의 대출 만기 연장 및 채무 재조정, 신규자금 지원 등을 통해 일시적 자금난에 허덕이는 부실 우려 사업장을 정상화하는 게 목적이다.

대주단 협의체가 공식 출범하면 자금조달 실패로 돈줄이 마른 PF 시장의 급한 불은 끌 수 있을 것으로 금융당국은 바라보고 있다.

◇PF 대주단 협약 개정…사업장 지원 의사결정 빨라진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금융정책국장 주재로 은행, 증권, 저축은행 등 금융권 담당자들을 불러 비공개로 PF 대주단 협의체 실무회의를 진행한다.

이달 말 PF 대주단 협의체 출범에 앞서 세부적인 협약 사항을 확정하기 위한 자리로, 금융위는 최근 PF 부실 논란이 불거진 새마을금고의 협의체 가입 진행 상황도 점검할 예정이다.

대주단협의체는 시행사나 건설사 등에 돈을 빌려준 채권사들의 모임으로,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제정된 후 13년 만에 재가동되는 것이다.

당국은 참여 금융회사와 함께 당시 협약 내용을 개정해 다시 정상궤도에 올라설 수 있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대출 상환 유예, 출자전환, 신규자금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대주단 협약 대상 기관에는 기존 은행 등 금융회사에 더해 신협·농협 등 상호금융조합과 새마을금고 등이 새로 포함됐다.

대주단 협의체는 앞서 단일 업권 중 처음으로 구성된 저축은행 PF 협의체와 마찬가지로 총 PF 채권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만기 연장에 나설 방침이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PF 선순위 사업자가 만기 연장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사업장 전체가 부실화될 우려가 커 부동산 연착륙을 위해선 만기연장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상환 유예와 금리 인하를 비롯한 채권 재조정, 신규 자금 지원은 총채권액의 4분의 3 이상이 동의하면 이뤄진다.

이외에도 대주단 협의체는 이미 손실이 발생한 PF 사업장에 대한 처분 절차 등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금융권 협의체는 PF 채권 매각 과정에서 자산관리공사(캠코)의 인수나 금융사의 리파이낸싱 방안도 함께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이와 함께 민간 자율의 PF 사업 재구조화 지원을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민간재원을 활용해 최대 1조 원 규모의 펀드도 상반기 중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경우 만기연장·사업재구조화 등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하고, 가능성이 낮은 경우 공매 등을 추진하는 등 사업장별 맞춤 지원에 나서되 필요시 펀드 규모도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사 "최악의 상황 대비…정책자금 지원 확대해야"

금융사들은 PF 사업 정상화를 위해선 캠코 등 정책금융기관의 참여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PF 사업장 재구조화 및 신규 자금 투입 과정에서 정책금융기관의 참여가 필요하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금융사는 자금이 더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미 1조원 수준의 펀드 조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전체 사업장을 지원하긴 어려워 자금을 넉넉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협의체가 성공적으로 작동할 경우 제2, 제3의 펀드 조성으로 정상화 지원을 확대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은행들은 PF 협의체가 사업장 전체 정상화를 지원하는 것인 만큼 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단 입장이다.

금융지주 또한 은행, 증권, 저축은행, 캐피탈 등 계열사들이 PF 사업에 얽혀있기 때문에 지주 차원에서 PF 사업장 단위별 리스크 및 사업성에 대해 점검할 계획이다.

다만, 금융사들은 이번 협의체 구성으로 당장 PF 사업장이 호조를 보이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무리 만기 연장을 해도 결국 사업성 회복이 관건"이라며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조짐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결국 가격을 낮춰야 할 텐데, 누군가 손실을 감내하지 않는 이상 만기 연장만으로는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사 임원은 "PF 상황이 악화해 사업장이 멈추는 상황을 막고자 하는 것"이라며 "당장 효과를 보이길 기대하는 것보단 과거 위기 상황에 대한 학습효과를 바탕으로 PF 리스크에 대비하는 효과는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h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2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