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경우에 대비한 한국은행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은 경제연구원의 김혜진·정종우 부연구위원은 9일 발간한 BOK 경제연구 보고서에서 고숙련 서비스업의 인력확충에는 여성인력의 활용을, 제조업의 인력확충을 위해서는 고령자 및 외국인의 고용촉진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고용 촉진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 기본적인 상황이라면 향후 10년간 제조업 고용인원은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업 고용인원은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제조업의 경우 저숙련 산업(2022년 196만 명 → 2032년 176만 명)이 고숙련 산업(2022년 252만 명 → 2032년 248만 명)보다 감소세가 클 것으로 예상됐다.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고숙련 산업(2022년 738만 명 → 2032년 772만 명)이 저숙련 산업(2022년 1천177만 명 → 2032년 1천217만 명)에 비해 증가세가 높을 것으로 추산됐다.

여성·고령자·외국인의 고용을 촉진하는 정책을 사용하는 경우 인력 확충에 기여하는 정도는 산업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30-44세 여성 고용률이 주요 7개국(G7) 평균 수준(70.2%)으로 높아질 경우 고숙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늘어났다.

고령자(50-64세) 고용률이 일본 수준(76.8%)으로 높아질 경우 주로 저숙련 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수 증가했다.

외국인 비율이 G7 평균 수준(7.8%)만큼 높아질 경우 다른 고용 촉진 정책에 비해 고숙련 제조업에서의 고용 증대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 분석에는 내국인과 동일한 수준의 숙련도를 가진 외국인력이 유입된다는 가정을 사용했다.

한국은행


한은은 "주요 성장산업이 포함된 고숙련 서비스업의 인력확충에는 여성인력의 활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피·사양산업이 다수 포함된 고숙련·저숙련 제조업의 인력확충을 위해서는 고령자 및 외국인 고용촉진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