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신윤우 기자 = 최근 워크아웃(채권단 공동관리)을 신청한 경남기업 등에 대한 금융당국의 시선은 '회생'에 맞춰져 있었다.

김진수 금융감독원 기업금융개선국장은 5일 건설공제조합이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개최한 '제1회 건설금융포럼'에서 "특정업체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더라고 대변인 역할을 해야할 건설공제조합 등 보증기관이 보증을 중단하면 안된다"며 "워크아웃 기업은 감독당국이 살리기로 인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국장은 이어 "워크아웃이 주는 낙인효과 때문에 업체들이 (재무상황 등에 대해) 거짓보고하고, 이게 나중에 터지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로 간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워크아웃에 들어간 경남기업은 해외비중이 40% 이상이고 회사채와 기업어음(CP) 등이 없는 우량사"라며 "이런 기업은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날 주제발표에 나섰던 박동규 한양대 교수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는 건설사들이 난관을 극복하려면 강도높은 구조조정이 시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개발금융 시장에서 건설사들의 과도한 경쟁을 막기위해서는 업계내부에서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우량 건설사의 동반 고사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회사들이 최근 부동산PF 위험관리 모범규준을 만들어 시행에 들어갔으나, 효과적인 구조조정으로 귀결되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감독원 등 정부차원에서도 다양한 조치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동규 교수는 '건설기업 정상화 은행'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적체되고 있는 미착공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해당 업체의 채권은행(유암코 주주은행)이 보유한 채권을 '건설기업 정상화 은행'에 매각하면 채권은행과 건설사의 관계가 절연된다"며 "이를 사모펀드(PEF)가 인수하는 구조를 짤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정부 관계자를 비롯한 건설업계, 금융업계, 연구기관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참석해 논의가 이뤄졌으며, 150여명 이상의 청중이 참석하는 등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ddkim@yna.co.kr

ywshi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