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거주비중 69.1%…거주형태 80%가 전월세
5060 소유비중 60%…시세차익보다는 임대소득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국내 오피스텔의 대부분은 50대와 60대가 임대소득을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 다수는 20대와 30대였으며 전월세를 통해 거주하고 있었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 정책연구실은 2021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거주가구 특성' 분석과 표본추출을 통한 1천500개 서울지역 오피스텔의 등기부등본 열람 및 시세 조사를 통한 소유자 특성분석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거주가구 특성 분석에서는 20대가 36.6%, 30대가 32.5% 등 69.1%를 차지했다. 가구 형태는 1·2인 가구가 92.9%, 거주형태는 월세 54.6%, 전세 28.3% 등 전월세가 82.9%를 차지했다.

소유자는 50대가 26.3%, 60대가 33.7% 등 60%를 차지했다. 평균 보유기간은 8.8년이었다. 오피스텔의 자가점유 비중은 2.5%에 그쳐 대부분 임대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오피스텔의 시세 차익을 뜻하는 연평균 자본수익률은 2.5%, 임대료에 기반한 소득수익률은 5.6%여서 시세차익보다는 안정적인 월세수입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보여줬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오피스텔이 도심 내 2030세대의 주거사다리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투기성 재화로 간주돼 지난 2020년 주택 수 산입대상에 포함되면서 공급 위축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정부가 올해 1.10 대책에서 향후 2년간 준공되는 신축 오피스텔을 구입하거나 기축 오피스텔을 구입해 등록임대할 경우 주택 수 산입에서 제외하는 세제 완화 정책을 발표했지만 제도적 보완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승배 협회장은 "이번 분석에서 오피스텔은 투기재가 아닌 도심 내 임대차시장 안정에 기여하는 임대수익 목적의 투자재임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면서 "신규공급을 확대하려면 세제완화 대상을 '2년 내 준공' 제한을 완화해야 하며 공사비 인상을 고려해 금액 기준도 현실에 맞게 상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피스텔 공사현장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