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이호 강수지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0월 전망 이후 유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약화됐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10일 금융통화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10월에 한은이 내년 경제성장에 대해 대략적으로 제시했는데 그 이후로 상당 부분 여건 변화가 있었다"며 "유가하락과 글로벌 경기둔화 등 글로벌 하방 요인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우리나라의 장기금리 상승도 자연스러운 흐름이지만, 상승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그는 "미국 금리 인상되면 미국 장기금리가 상승하고 우리나라 장기금리도 상승압력 받는 것은 자연스러운 채널이다"며 "미국이 금리 올리는 것이 오래전부터 예상돼 와서 이미 금리에 선반영돼 있고, 앞으로 인상속도도 완만한 것으로 예상돼 장기금리 상승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이 시장에 상당부분 반영돼 있고, 속도도 완만할 것이기 때문에 한은을 포함한 대응하는 데는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금통위가 금리를 결정하면 금리인상 자체를 보는 게 아니라 미국 금리인상 이후 국제금융시장과 신흥국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경제금융시장 변화를 감안할 것이라 공식적으로 미국이 금리 올린다고 해서 우리나라가 곧바로 따라 올리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한국개발연구원(KDI)가 전일 경제전망에서 단기 부양보다 구조조정을 강조한 데 대해서는 동의했다.

그는 "KDI 전망은 내년 성장률을 3.0%로 전망하면서 정책여력이 부양보다는 잠재성장률을 키우는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잠재 성장률 수준이 과거보다 낮아져서 3% 초반대를 예상하고 있다"며 "그걸 감안하면 3% 성장하에서는 아무래도 잠재력을 키우는 쪽으로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고 동조했다.

이 총재는 중국의 위안화 절하가 장기간 지속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일반적인 예상은 중국 위안화가 SDR 편입되면서 약세전망 나오고 있지만, 여러 가지 상황 고려해 볼 때 위안화 약세가 오랫동안 지속될 가능성 크지 않다"고 봤다.

그는 "앞으로 결제 보유 측면에서 위안화 수요가 늘어나고 이는 장기적으로 위안화의 강세, 중국으로의 자본 유입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원화의 국제화는 해외 여건이나 국내 경제여건을 동시에 고려해서 기대효과가 훨씬 클 때 추진하는 것이 맞다"며 "얼마 전 중국화 상해에 원-위안 직거래시장 개설에 합의했는데 해외에서 원화거래 첫 사례로 원화 국제화의 큰 시험대, 시발점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내년 국제유가의 50달러대를 가정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내려갈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내년도에는 유가가 50달러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7%로 예상했는데 최근 유가하락은 예상을 벗어나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분명히 내년도 물가에도 하락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 총재는 미국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가장 큰 리스크로 신흥국의 취약성을 꼽았다.

그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신흥국 불안과 국제시장 변동성 등이 있다"며 "재정상이나 원자재 가격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나라가 많은데 취약 신흥국의 금융경제불안이 확대되서 개별 국가의 리스크 위기로 가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에 따른 파급효과가 가장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이날 새누리당에서 추진하려는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인하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규제 완화라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이 총재는 새로운 물가안정목표를 다음 주에 발표할 예정이며, 적어도 내년까지는 금통위 회의를 기존과 같은 횟수로 진행할 것이라 밝혔다.

그는 "물가안정목표제와 관련해 정부와 협의를 진행해 왔고 곧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최종안이 확정되는 대로 그 내용을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은행도 국제적인 관행을 반영해서 회의 횟수 줄이는 것을 진지하게 검토를 하고 있다"며 "그렇지만 내년에는 현행대로 유지할 계획인데 내년은 시기적으로 촉박하다"고 덧붙였다.

jhlee2@yna.co.kr

hlee@yna.co.kr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