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내년 건설업종은 정부의 주택가격 안정화 정책의 영향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대한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기존 건축물 노후화에 따른 도시정비사업, 1~2인가구 증가에 대비한 기업형 임대, 해외 대형 발주처의 투자계획 등이 모멘텀 공백을 매워줄 것으로 기대됐다.

1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내년 국내 건설수주액은 올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신영증권은 내년 국내건설 수주액을 올해보다 12% 줄어든 136조6천억원으로 제시했다. 민간건축 주거용이 위축되며 올해 수주액이 지난 2015년 대비 5.8%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선행지표인 건축허가면적 증가세 둔화,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등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거론됐다.

하나금융투자도 국내 건설시장 규모가 올해 145조원에서 내년 125조원으로 큰 폭의 감소를 예상했다. 택지공급 감소의 영향으로 신규주택 분양이 줄고 분양가 상한제와 초과이익환수제 시행 등으로 주택사업 시행마진도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위축의 원인으로는 주택가격 규제를 첫머리에 꼽았다.

정부는 지난 6·19 대책에서 조정대상지역의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10%씩 하향했다. 8·2대책에서는 LTV·DTI 햐항 지역을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로 확대했다. 양도소득세 중과세도 부활했다.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에서는 신DTI,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가계의 주택구매능력은 이전보다 대폭 제한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9·5 후속조치에서는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 도입을 공표했다. 증권가는 분양가 상한제가 내년 부활이 예고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와 함께 주택공급을 위축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결국, 기존 주택분양사업장에서 올라오는 매출과 이익으로 실적 개선세는 이어지지만 더는 주택에 기댈 수 없는 상황에서 빚어진 모멘텀 부재가 건설업종 약세를 점치는 근거로 작용하는 셈이다.

한가지 기대해 볼 만한 것은 중동 발주처의 큰 손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자국 내 인프라를 중심으로 발주물량을 늘려가고 있다는 점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중동의 큰 손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작년 4월 국영석유기업인 아람코의 기업공개를 포함한 비전2030을 발표한 데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3년 630억달러의 공사를 발주한 사우디의 복귀는 해외수주 회복의 전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서횡단고속철도, 제다 메트로, 메카-메디나 초고속철도, 15개의 총 600조원 이상이 투입될 신도시 등 인프라 부문에 장래 발주가 집중됐다고 하나금융투자는 언급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2018년 건설업황은 국내 건설경기 둔화에도 해외 건설경기 회복이 예상된다"며 "사우디 아람코의 IPO 이후 자국과 인도투자 확대 등 유가 상승의 인플레이션 기대감과 맞물려 전년비 25% 증가한 해외수주를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신영증권은 주택경기 위축에도 도시정비사업과 기업형 임대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주택의 60%가 준공 후 15년이 지났고 30년 이상 된 건물의 비중도 17%에 달하기 때문이다.

월세전환 가속화와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기업형 임대도 미래 성장동력으로 언급됐다. 서울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공유주택(셰어하우스)도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했다.

박세라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수급을 결정짓는 구조적인 변화는 지속되고 있다. 정책은 일시적 영향에 그친다"며 "2018년에는 건설기업의 차별화가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