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금융기관의 대출이 특정업종과 차주에 편중되면서 집중리스크가 확대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18년 1월)에서 "특정 부문 대출이 전체 대출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크거나 증가세가 빠를 경우 시장금리 상승과 부동산 경기 악화 등에 따라 해당 부문의 부실이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전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관련 업종이, 차주별로는 개인사업자 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는 비은행금융기관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은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에 대해서는 대내외 충격흡수능력이 제고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금융 불균형 누적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전했다.

한은은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이 저금리 환경에 대응해 자금운용과정에서 위험추구 성향을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보험사의 경우 채권평가이익이 발생하는 매도 가능 채권의 보유비중을 늘렸다. 지난 2013년 말 보험사의 전체 보유채권 중 매도 가능 채권의 비중은 68.6%(186조 원)였지만, 지난 2016년 말에는 72.1%(235조 원)로 늘었다.

증권사는 위험부담에도 고수익원인 우발채무 보증을 늘렸고, 신용카드사도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카드론 대출을 확대했다.

한은은 단기간에 자금운용 구조를 바꾸기가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시장금리 상승 시 비은행 금융기관의 수익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한은은 경제회복에 따라 완화 정도의 폭이 적절히 조정되지 않는다면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진 등으로 시장금리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며 "그 경우 가계와 기업, 금융기관의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은은 가계신용에 대해서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예년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가계부채의 총량은 확대되고, 가계 소득대비 부채비율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로 대출금리가 점차 상승할 경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무상환의 어려움이 커질 소지가 있다"며 "가계부채 누증은 장기적으로 소비를 억제해 실물경제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완화 기조의 장기화가 금융 불균형을 심화시킬 가능성과 이런 불균형이 중장기적으로 성장과 물가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