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수단 부족 우려 vs 피디 부담 증가



(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국고채 50년물을 발행이 재개된 가운데 초장기물 헤지수단으로 주목받는 30년 국채선물에 대한 논의는 1년 넘게 지연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와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4일 30년 국채선물에 대한 거래소 내부의 검토가 진행 중인 상황이지만,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30년 국채선물이 도입되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시장을 조성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국고채 전문딜러(PD) 등의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고민이다.

초장기물에 대한 유효한 헤지 수단 제공이라는 정부의 고민과 PD 부담 증가라는 시장의 우려로 30년 국채선물에 대한 컨센서스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30년 국채선물은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하반기까지 초장기 국채선물을 도입하겠다고 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국고채 50년물 물량 부족 등으로 별다른 진전 없이 지나갔다.

거래소의 한 관계자는 "고려사항이 많아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어느 정도 여건 준비가 되어야 하고 기재부와도 협의를 해야 하는데 기한을 정해놓고 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전일 '2017년 하반기 우수 국고채 전문딜러(PD) 시상식'에서 오는 15일에 국고채 50년물을 3천억 원 발행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가 시장의 수요과 발행 흥행 여부 등을 고려해 국고채 50년물 발행을 정례화할 가능성에도 열린 입장을 보이는 만큼 50년물 물량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고채 50년물은 지난 2016년 1조1천억 원 발행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조3천190억 원 발행됐다. 지난해에는 수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3월에 2천190억 원 발행하는 데 그쳤다.

또 다른 거래소 관계자는 "30년 국채선물이 도입되면 시장 조성이 필요한데 피디들이 부담스러워 한다"며 "도입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워낙 장기물이라 조성에 따른 위험도 커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30년 국채선물 도입에 다소 회의적인 입장이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국고채 50년물의 상당 부분이 장기투자기관으로 들어갈 것이라 헤지 필요성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며 "초장기물을 북에 담을 수 있는 피디도 많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입장도 이해하지만, 초장기 국채선물이 도입되면 조성 실적 등으로 피디에게는 또 다른 부담이다"고 덧붙였다.

선물사의 한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다양한 상품이 선물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30년물도 거래가 활발한 편이다"며 "결국 우리나라도 초기에 시장 조성에 성공할지가 핵심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증권사나 은행이 계정에 초장기를 담을 여력이 없고, 그렇다고 보험사가 직접 선물시장에서 호가를 조성하기도 어렵다"며 "결국 호가 조성자의 몫이 중요한데 참여 인센티브를 크게 주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sskang@yna.co.kr

(계속)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