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현대경제연구원은 우리나라의 2%대 저성장 흐름이 굳어지면서, 구조적인 장기침체 논란이 내년에 벌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투자 위축 및 소비 부진 장기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노동생산성 정체 등의 구조적 문제가 부각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현대연구원은 7일 '2019년 국내외 경제 7대 이슈' 보고서에서 "2%대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하고, 민간 부문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율이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의 투자는 위축되는 반면 예금 보유는 늘어나며, 성장 동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고도 했다.

실제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고정자본형성 비중은 1990년대 초중반 40%에서 IMF 외환위기 이후 보수적인 투자 행태가 확산하면서 30%대 내외로 위축됐다.

특히 제조업 기업의 투자 활동인 설비투자의 GDP 대비 비중은 1978년 16.3%에서 지난해 8.8%로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반면 총예금에 견준 기업예금 비율은 IMF 외환위기 이후 확대되는 추세다.

고령화 현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중장년층의 소비성향 하락 폭이 커 소비 부진도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고 현대연구원은 판단했다.

향후 노동 투입이 경제성장에 마이너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노동생산성도 정체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은 2011년 이래 여전히 30달러대에 머물고 있는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노동생산성의 약 61%에 불과한 수준이다.

현대연구원은 "단기적으로 경기 부양에 힘쓰고 중장기적으로는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노동생산성 향상 등 성장 잠재력 제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대연구원은 장기침체 외에도 소비위축, 반도체 산업 둔화 우려,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러쉬, 고용시장의 뉴노멀, 미국 경제 호황, 신흥국 금융 불안 등을 내년 경제 이슈로 꼽았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