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배제까지 번진 일본의 한국에 대한 규제가 금융권으로 이어질지 관심사다. 서민금융의 일부를 담당하는 일본계 저축은행이 여신을 축소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일본계 저축은행들은 성장성이 견조한 업권에서 자금을 회수할 이유가 적고, 기업 대출 등에도 동참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6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국내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70조1천53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말에 50조원을 돌파했고 2018년 들어서면서 60조원, 올해는 70조원까지 쌓았다. 3년 전과 비교하면 50% 이상이 확대했다.

일본계 저축은행 4곳(SBI, JT친애, OSB, JT)의 성장성 역시 가파르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자산은 3년 새 70% 늘었다. JT친애저축은행과 OSB저축은행은 같은 기간 각각 57%, 40%의 자산증가율을 기록했다. JT저축은행은 3년 전 4천700억원대 총자산이 이제 1조2천500억원으로 2.6배 이상 급증했다.

이들 저축은행은 모두 자산 기준 업계 20위권 내에 포진했다. 이런 성장성이 뒷받침되면서 일본의 경제보복이 여신 등 자금의 회수로까지 이어지기 어렵다고 일본계 저축은행업계에서는 판단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체가 빠른 금융시장에서 상품경쟁력이 없다면 저축은행 업계가 성장하긴 상당히 어려웠을 것이다"며 "예금자 보호가 되면서 소비자들의 인식이 올라갔고 영업 인력 확대와 디지털화 노력 등으로 이룬 결과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계 저축은행이 규제 사항 등에 대해 매우 디테일하게 보는 편이지만, 이를 제외하면 경영 관여는 제한된다"며 "여신 관리 노하우가 쌓였는데, 이를 포기하긴 쉽지 않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국내 저축은행업계 전체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평균 5.2%다. 일본계 저축은행들은 대부분 이를 밑도는 수준에서 여신을 관리하고 있다. 결국, 제1금융권의 문턱을 넘지 못해 저축은행을 찾은 여신 고객 중 우량고객을 다수 확보했다는 뜻이다.

일본의 경제보복에 미·중의 무역갈등이 격화하면서 국내 기업이 어려워지면 일본계 저축은행도 기업 대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가계와 개인사업자에 대한 당국의 대출 관리가 강화돼 자산 다변화 차원에서 기업 대출로 옮겨가는 움직임이 나타난다"며 "다른 곳에서 여신을 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이라면 저축은행이 오히려 만기 연장에 편하고, 어려워진 중소기업이라도 심사를 통과하면 신규로 자금을 공급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0시 5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