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한·일 무역 분쟁에서 양국이 한 발씩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채권시장 등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양국의 문제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중·일 정상회담이나 미국과의 동맹 관계등을 고려해 봉합 수준으로 위기 수위를 낮출 수 있다는 견해도 보였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8일 한국에 대한 1차 수출규제 품목으로 지정했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3개 품목 가운데 반도체 기판에 바르는 감광액인 포토레지스트 수출 1건을 전날 승인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를 단행한 지 한 달여 만이다.

한국도 일본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고시 개정 최종안을 확정하지 않았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일본이 수출을 한 건 허가했다고 해서 사태가 일단락됐다고 볼 수는 없다"며 "어차피 계속 진행형"이라고 말했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운용 본부장도 "질질 끌 것으로 본다"며 "일본이 전격적으로 합의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일 갈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들 실제적으로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오는 15일 광복절에 나올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와 24일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협정 종료 의사 통보 기한, 일본기업의 국내재산 강제 매각 추이 등을 중요한 변곡점으로 꼽았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일본의 수위 조절 목적)가장 큰 것은 한국이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지 보는 것"이라며 "8·15광복절 대통령 메시지, 24일 지소미아 시한 만료 관련, 또 더 큰 것은 대법원 판결에 따라 일본 기업 재산을 강제 매각 하느냐가 최대 고비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중 무역분쟁이 전체적인 세 대결 양상이라면 한일 문제는 우리가 당사자"라며 "영향도 훨씬 더 클 것이고 한국에 더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미국과 한·일 양국의 동맹관계, 한·중·일 관계 등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통해 문제를 봉합할 수 있다고 보는 전문가도 있었다.

이태환 세종연구소 명예연구위원은 "미국과 중국 등 다른 나라들도 관심을 갖고 있는 사항"이라며 "주변적인 여건들이 영향을 주고 서로 대화를 하다보면 봉합은 하고 넘어갈 가능성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한·중·일 정상회담 등 아직 대화의 장이 다 닫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지난 5일 한중일 정상회담의 개최 시기를 조율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로 10시 2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인포맥스 금융정보 서비스 문의 (398-5209)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