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대형 금융지주 회장들을 취임 이후 처음으로 만났다. 그간 대기업·중소기업·소상공인 현장을 찾은 대통령의 행보와 성격이 다소 달라 격려와 부탁의 의미가 강했다.

특히, 과거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당국의 지원을 받았던 대형은행들의 몸집과 이익이 커지면서 이번 위기에서 소방수로 부상한 모습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오후 2시부터 은행연합회에서 5대 금융지주(KB·신한·농협·하나·우리) 회장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1시간 12분 동안 진행됐다.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를 취소하고 현장을 찾을 만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역점을 뒀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월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재계 총수와 대기업, 경제단체, 소상공인·자영업자들과 현장에서 마주했다. 이전까지가 기업들의 코로나19 피해와 애로사항을 듣는 자리였다면, 이날은 의견 청취와 함께 대통령의 당부에 상당한 비중이 실렸다.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금융권에 두 번이나 감사 인사를 했다.

대통령은 "대다수 정책이 금융권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로 마련된 것"이라며 "금융권이 함께하면 위기 극복과 우리 경제의 맷집도 더 튼튼해질 것"이라고 했다.

과거 외환위기 때 대형은행들은 대거 자본이탈이 발생하자 자본확충을 지원받은 바 있다. 이후 은행들은 인수합병(M&A) 등으로 몸집을 키웠고 비은행계열사까지 거느린 금융지주로 성장했다. 재작년과 작년에는 최대 순익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처럼 대형 금융지주의 위상이 올라가자 문재인 대통령이 대형 금융지주에 소방수 역할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달 25일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전 금융권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금융권의 협조에 대해 "IMF 외환위기 당시 금융권을 도와준 국민들에게 보답할 기회"라고 말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 국민들이 금 모으기를 하고 금융권도 자본확충을 했다. 자본확충 자금은 재정에서 나오고 재정원천은 국민들 세금이다"며 이번에는 여유가 있는 금융권이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호소한 바 있다.

최근 일부 은행 노조가 정책적 지원에 따른 업무 부담을 호소하기도 했지만, 이날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 노사정 공동선언'으로 금융산업 근로자들은 주 52시간 초과근무를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등 제도적인 뒷받침도 강화됐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은 전체 은행권 원화 대출금의 67.1%를 담당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은 71%로 치솟는다. IBK중소기업은행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소상공인들은 대형 은행의 자금에 더 기대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도 기업에 대한 정책적 자금지원에만 매달리는 것보다 스스로 대출 문턱과 이자 부담을 낮추면 이익이 줄더라도 디폴트(채무 불이행) 리스크가 경감될 수 있다"면서 "은행권이 자체적인 자금공급을 더 늘려야 한다는 대통령의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6시 3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