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이 둔화하면서 고용환경 악화로 연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2017년(103.1) 정점을 찍은 후 2018년 103.0, 지난해 102.9로 2년 연속 감소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연평균 증가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0.7%로 1991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증가율(4.7%)보다 한참 못 미쳤다.

2018년 생산액 기준 상위 10대 제조업 가운데 2015년 대비 2019년의 생산능력이 1% 이상 향상된 업종은 전자부품(20.1%), 화학(8.0%) 등 5개로 나타났다.

고무·플라스틱(-3.6%), 금속가공(-8.5%) 등 2개 업종은 생산능력이 1% 이상 하락했고, 기타 기계·장비(0.0%) 등 3개 업종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생산능력 유형별 10대 제조업 생산액 비중을 살펴보면, 전자부품과 화학 물질 및 제품, 석유 정제, 식료품, 전기장비 등 상승형 5개 업종의 비중이 55.1%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기타 기계 및 장비, 1차 금속, 자동차·트레일러 등 정체형과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 등 하락형(2개 업종)의 비중은 34.1%와 10.8%였다.

이 가운데 고용 비중은 상승형 39.7%, 정체형 35.2%, 하락형 25.1%로 정체 또는 하락형 업종이 국내 고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한경연은 "고용인원 기준 제조업 상위 5개 업종 가운데 4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 또는 하락형 추세를 보인다"며 "고용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지수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어 이들 업종의 일자리 해외 유출 등 고용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