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29일 서울채권시장은 미국 금리의 움직임과 다음주 입찰 부담을 소화하면서 약세 우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예상을 깨고 1.4% 감소하면서 미국 국채시장은 긴축 통화정책과 경기 둔화 우려를 동시에 반영했다.

간밤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4.04bp 오른 2.6210%, 10년물 금리는 0.75bp 내린 2.8264%에 거래됐다.

전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소상공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손실 규모가 54조 원이며, 재난지원금으로 31조6천억 원을 기지급했다고 밝혔다.

두 숫자의 단순 뺄셈에서 산출되는 나머지 보상액의 규모가 시장의 예상보다 작게 나오면서 채권시장에는 추가경정예산(추경)에 필요한 적자국채의 규모도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가 생겼다.

추경안에는 손실보상 이외에 차기 정부의 다른 공약을 뒷받침하는 재정 소요가 들어갈 수도 있다. 다만 추경안이 조금 더 확장된다고 하더라도 적자국채가 최대 10조 원대 수준에서 그친다면 채권시장에 주는 충격은 확실히 제한된다.

다만 채권시장은 추경 관련 호재를 전일 장기물 강세로 이미 반영했고, 이날은 다음주 돌아오는 국고채 입찰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5월 국고채 발행계획에서 총 입찰 규모는 이번달과 같은 14조5천억 원이었다. 다만 국고 30년의 공급 물량이 1천억 원 감소했고, 모집 발행의 일정이 한 주 앞으로 당겨졌다.

이 정도의 변화로는 규모가 4조 원이 넘는 국고 30년물 입찰의 파괴력을 완화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다만 기재부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고려했던 30년물의 분산 발행은 국고채전문딜러(PD)들과 초장기물 수요자들이 모두 반대해 결국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차피 맞을 매라면 한 번에 맞는 것이 낫다는 심리다.

중국에서는 베이징의 봉쇄가 확대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봉쇄가 물류에 차질을 주지 않도록 공산당 지도부가 지시를 내렸다는 소식도 들려왔다.

시진핑 중국 주석이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이 미국을 앞지를 수 있도록 하라고 주문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가 나온 바도 있어 중국이 제로코로나 정책 때문에 경기를 마냥 희생시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 봉쇄 소식이 주 초반처럼 채권시장에 강세 재료로 작용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장중 나오는 중국의 4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도시 봉쇄 영향에 전월치인 48.1보다 더 하락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전 8시에 발표되는 우리나라의 3월 광공업생산은 0.13% 늘어 6개월 연속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기획재정부는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한국은행은 3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자료를 내놓는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4.46포인트(1.85%) 상승한 33,916.39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3.54포인트(2.47%) 오른 4,287.50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82.60포인트(3.06%) 반등한 12,871.53으로 장을 마감했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은 전 거래일 1,272.10원에 최종 호가가 나왔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0.10원)를 고려하면 전일 서울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272.50원) 대비 0.30원 내린 셈이다.(금융시장부 기자)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7시 4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