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서울채권시장의 재정 리스크가 새정부 출범 후부터 예상과 완전히 다른 국면으로 가고 있다.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서는 국채 축소가 12조원 나오더니, 중장기 채권금리 상승의 트리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 안심전환대출 주택저당증권(MBS)은 해외에서 활로를 찾기로 한 것이다.

시장참가자들은 정부의 패러다임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앞으로 행보에 더 주목하는 모습이다. 국채 순증 방향성 전환과 함께 채권·환율 동반 약세를 동시에 보완하는 시장 선진화 방안을 기대한다.

18일 연합인포맥스 채권 발행 만기 통계(화면번호 4236)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고채 순증 발행은 5년 내외의 증감 주기를 겪고 있다. 주기에 따라 증감폭은 다르지만, 2~3년 정도 늘었다가 이후 감소하는 추세의 반복이다.
 

 

 

 


지금은 2019년부터 증가 추세다. 2019년에는 순증 규모가 과거 추세와 비슷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터진 2020년부터 급작스럽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올해도 확대일로일 줄 알았던 국채 발행은 2차 추경으로 완전히 달라졌다. 작년 국가결산에 올해 초과세수가 더해져 재무 건전성을 개선한 것이다. 이제 국채당국은 긴급 바이백(조기상환)으로 시장을 안정시킬 여유가 확보됐다.

그래도 서울채권시장에서 걱정됐던 것이 추경에 포함된 안심전환대출에 따른 MBS의 국채 구축이다. 20조원의 규모로 2015년의 공급 충격을 재현할 뻔했는데, 이제 그 우려까지 덜게 됐다. 해외 발행을 포함해 실수요가 참여할 만한 환경을 만들기로 금융위가 결정했기 때문이다.

국내 금융시장은 최근 유례없는 변동성에 노출됐다. 글로벌 통화정책 긴축이 원화채 금리와 달러-원 환율의 동반 상승을 유발하면서다. 환율은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고, 채권시장의 충격은 대출금리를 높였다. 위기에서 저소득·저신용자들이 먼저 피해를 받는 모습이 재현되는 것이다.

거시정책 조합상 국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면, 재정이라도 줄여야 하는데 시장 유동성 측면에서는 이제야 맞아떨어지는 셈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경호 부총리께서 이전부터 재정건전성을 강조했는데, 말로만 해서는 시장에 영향력이 없다"며 "국채 축소는 시그널"이라고 말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채권시장을 끊임없이 괴롭혔던 국채 발행물량은 오히려 채권시장의 든든한 우군이 되고 있다"며 "미국과 한국 모두 재정 긴축을 진행 중이고, 위기 이후 적자국채 발행은 늘 줄었다"고 분석했다.

시장참가자들은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가 시장이 진일보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한-미 정상회담과 시장 선진화 등 앞으로 이벤트를 주시한다는 자세다.

금융시장 관계자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트라우마는 외국인이 한국을 어떤 우선순위에 두고 투자를 하느냐"라며 "원화 채권과 환율이 동시에 타격을 입었는데 한미 정상회담에서 통화스와프가 거론되는 것은 시장참가자로서 매우 반가운 일"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세계국채지수(WGBI)까지 도입되면 의미 있는 안전판이 생기게 될 것"이라며 "국내 시장은 수급 패닉 없이 펀더멘털을 제대로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3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