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전경
[가스공사 제공]


(서울·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피혜림 기자 = 가스공사가 기업어음(CP) 시장을 자주 찾는 이유는 한국전력과 다르지 않다.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가스요금을 올리지 못해 쌓인 미수금이 가스공사의 자금 여력을 압박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서다.

19일 가스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스공사 부채비율은 500%, 미수금은 9조원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스공사는 2020년 7월부터 1년 8개월간 민수용 요금을 동결했는데 2021년 하반기부터 원유·가스 현물가격이 급등하며 미수금이 급증했다.

지난해 동북아 지역 천연가스(JKM) LNG 현물가격은 평균 34.24달러로 전년 대비 128% 뛰었다.

2021년부터 공급망 경색이 나타난 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솟으면서 특히 석탄과 LNG 가격 상승폭이 컸다.

이에 따라 2021년 1조8천억원이었던 가스공사의 민수용 미수금은 지난해 1분기에는 4조5천억원으로 늘었고 3개 분기 만에 다시 2배가 뛰었다.

미수금은 수요가 늘지만 요금을 올리지 못한 1분기를 지나면서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동절기 난방비 부담을 고려해 1분기 가스요금을 동결하고 2분기 이후 인상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성수기인 1분기 가스 요금 동결이 결정되면서 미수금이 여전히 급증세"라며 1분기 이후 미수금이 약 14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가스공사는 미수금 압박 때문에 흑자를 내고 있음에도 정부의 재무위험 공공기관, 그중에서도 상황이 특히 나쁜 재무구조 전반 취약기관에 지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지난해 부채비율은 500%로 추정되며 가스공사는 2026년까지 부채비율을 200% 밑으로 끌어내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선 요금 인상이 필수적이다.

가스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보면 가스공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미수금 조기 회수가 필요하다며 이르면 2026년까지 미수금을 해소할 목표로 요금 인상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올해 MJ당 2.6원씩 4개 분기에 걸쳐 가스요금을 올릴 경우 2026년에 미수금을 해소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지난 2012년 미수금이 5조5천억원으로 늘어났을 때 이를 회수하는 데 5년이 걸렸던 점을 고려하면 다소 희망적인 계획이다.

1분기를 건너뛴 만큼 2분기 이후 요금을 상당폭 인상해야 하는 이유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은 지난 10일 기자들과 만나 "최악인 부채 비율과 미수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영 기반을 닦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생각"이라며 "(공사의 누적 미수금은) 결국 국민이 다 갚아야 하는 구조로, (미수금 해소가) 빠르면 빠를수록 비용이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