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김정현 기자 = 미국 의회의 부채한도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하자 국내 채권시장에도 단기 금리 상승 요인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미국과 우리나라 시장이 별도인 만큼 그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31일(현지시간) 본회의에서 부채한도 적용을 2025년 1월까지 유예하는 합의안을 찬성 314표 대 반대 117표로 가결했다.

아직 상원 통과가 남았지만 민주당이 다수를 점유한 상원에서는 통과가 확실시된다.

A 증권사의 한 채권운용 본부장은 1일 "미국 국채의 발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미 국채금리 상승 요인이 되면 국내 채권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한국과 미국이 시장은 다르지만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더 들어가면 국내 채권 수요 부족 얘기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부채한도가 유예되면 발행이 늘어나는 채권은 주로 만기가 1년 미만의 단기 채권(T-bill)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채권 약세 재료로서의 영향력도 주로 단기구간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연준 내 재무부 예치계좌(TGA)의 잔고를 채우기 위해 T-bill 발행이 적지 않을 것"이라며 "수급적으로는 불안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부채한도 유예 영향에 대해 "단기적으로 우리나라도 국고채 커브가 스티프닝쪽은 아닐 것"이라며 "장단기 역전될 정도의 플래트닝 압력은 아니지만 좁은 스프레드를 유지하게 하는 효과 정도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부채한도 합의안 통과 이후 위험 선호가 살아나는 경로의 효과도 거론됐다.

B 증권사의 채권 운용역은 "미국 부채한도 협상 이후 하원을 통과할 것은 시장에서 예상한 측면이 있다"면서 "국내 채권시장에는 재료 해소에 따른 위험선호 심리 증대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 시중은행의 채권 운용역은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이 있었을 때는 단기 국채를 중심으로 금리가 급격하게 올랐다"면서 "부채한도 협상이 최종적으로 확정되면 위험 해소에 따른 금리 하락 요인과 채권 발행에 따른 금리 상승 요인이 중첩돼 움직일 것이다. 쉽게 금리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했다.

jhhan@yna.co.kr
jkkim7@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0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