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이 환율에 생각보다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진단을 내놨다.

그러면서 금리 차보다는 미국의 기준 금리 수준과 인상 폭 등이 오히려 환율과 관계가 크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20일 '한미 금리역전기 환율 변동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다.

1999년 5월 한국은행이 정책 금리를 제시한 이후, 미국과 한국의 금리가 역전된 것은 총 4번이다.

1차 금리 역전기인 1999년 6월~2001년 3월과 2차 금리 역전기인 2005년 8월~2007년 9월에는 금리 격차가 벌어질수록 오히려 환율은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미 정책 금리 격차와 달러-원 환율
[출처: 대한상의]


상대적으로 최근에 발생한 금리 역전 시기인 2018년 3월부터 2020년 3월, 이어 2022년 9월부터 현재까지는 달러-원 환율이 소폭 상승했다. 다만, 변동 폭이 크지는 않다는 게 대한상의의 진단이다.

상의의 이러한 주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유출과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른 기업 수익성 악화 우려라는 통념을 반박하는 것이다.

대한상의는 오히려 금리역전기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잉 유동성을 잡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올리는 결정이 실물경제 위기까지 번질 경우 환율이 더 크게 출렁일 수 있다는 의미다.

예컨대, 1차 금리역전기에 터진 '닷컴 버블 붕괴'나 2차 역전기 종료 후 발생한 '리먼 브러더스 사태' 등으로 달러-원 환율은 단기간에 급등했다. 즉, 금리 인상이 실물 경제 타격으로 이어질 경우에야 환율도 후행한단 의미다.

아울러 금리 인상 폭도 주안점이다. 1·2차 금리인상기는 美 정책금리 수준이 5%를 초과하면서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담이 컸던 반면, 3차 금리인상기에는 최고금리가 2.5%로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한미 간 금리 격차보다는 미국 실물 경제 충격이 글로벌 경기 침체와 환율 불안의 불쏘시개가 됐다"며 "가계부채, 부동산 PF 등 금융 부문의 잠재적 취약성을 경감시키고, 중장기적으로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역적자 구조를 벗어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klk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