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진 전주대 교수>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호남권 부동산 시장은 4ㆍ1대책의 온기를 느낄 새도 없이 급급매물마저 자취를 감추며 급격하게 얼어붙고 있다. 공급과잉 우려가 시장 전반에 확산되며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완전히 실종됐다.

부동산모니터링그룹(RMG)에서 호남권을 담당하는 김종진 전주대 교수는 수요를 동반하는 산업시설 유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 지역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되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22일 연합인포맥스는 김종진 교수와 인터뷰를 통해 호남권 부동산 시장의 전망에 대해 물었다.

4ㆍ1대책은 수도권 시장에서 위력을 발휘하며 전국적인 호재로 부각됐지만 호남권에서는 잠시 지나가는 봄바람에 그친 것으로 평가됐다.

지역별로는 광주에서 미분양 물량이 줄어드는 등 일부 효과가 있었으나 5% 수준의 계약금, 중도금 60% 전액 무이자, 3년간 잔금 유예 등 사업자의 마케팅 효과가 더 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종진 교수는 "수요자들이 호남권의 공급과잉 상황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며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와 매수 선호를 찾아보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주택매매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등 임대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광주는 이미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이 80~90% 수준으로 올라왔다. 추가 상승이 어렵더라도 강보합세는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주는 올해 말부터 전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향후 4~4년 동안 6만 가구의 공급이 예정되어 있는데, 전주 인구가 65만 명인 점을 고려하면 부담스러운 물량이다.

김종진 교수는 "광주와 군산은 매매가격 하락이 일반적인 예상이어서 전세가격이 앞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전주는 혁신도시 공급물량이 많아 두 지역과 다르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개발 이슈도 눈에 띄지 않아 하반기 반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전북의 대형 개발사업인 새만금은 수년째 정체되고 있으며 기관이전이 진행 중인 광주혁신도시는 주거지와 떨어져 있어 시너지 효과가 크지 않다. 군산의 군장산업단지는 경기침체의 여파를 아직 벗지 못하고 있다.

김종진 교수는 "주택수요를 창출할 큰 동력이 없어 지방 경제활성화 정책이 시행되지 않는 한 부동산이 투자 대상으로 부상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예전으로 되돌아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