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이 19년만에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했다.

코스닥은 중소기업 자본조달의 기회를 제공하고 중소 벤처가 안정적으로 경영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개설됐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은 이 시장을 통해 성장 가능성 높은 유망 벤처에 투자할 기회를 얻었고, 벤처금융회사들은 투자한 자금을 이 시장을 통해 회수해 또 다시 유망기업에 투자하는 선순환이 그런대로 이어져 왔다.

주가 수준이 반드시 높아야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총 1위기업이 코스닥에서 나올 날이 도래하면 한국 경제의 근간도 튼튼해 질 것이라는 데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국내 주식 시총 1위 삼성전자도 1990년대 초엔 주가가 2만원선에 불과했다는 것을 복기해본다면 코스닥의 미래도 얼마든지 `장미빛 시대'를 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기술력과 가치가 국내업체와 비슷한 중국의 벤처기업이 국내 기업에 비해 수십배에 달하는 가격에 주가가 형성돼 있는 것을 종종 목격할 때가 있다. 여전히 코스닥은 저평가 돼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코스닥 시가총액이 적어도 코스피의 절반인 600조원 수준으로는 성장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풍부한 유동성과 저금리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의 코스닥시장 투자가 점차 활발해지는 요즈음 증권당국의 정책적 지원에 대해서는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물 들어왔을때 노 저어라'는 말처럼, 여건이 됐을 때 우량 중소기업과 벤처에 대한 투자가 과감히 이뤄지도록 제도와 규제개선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게 증권업계 안팎의 공통된 의견이다.

같은 맥락에서 코스닥시장을 거래소에서 다시 분리해야 한다는 제안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결론을 맺어야 한다.

벤처캐피털을 중심으로 주장되고 있는 코스닥시장 분리안은 상장시간 단축과 상장요건 완화 등이 쟁점 사항이다.

하지만 거래소는 자본잠식 요건 도입과 감사의견을 상장 조건으로 한 것은 2002년 버블붕괴를 경험으로 세운 방어책이며, 양 시장 통합후 오히려 부채비율 제약이 없어지고, 기술성장기업 특례제도가 마련되는 등 기업친화적인 여건이 강화됐다고 말하면서 코스닥 분리 무용론을 내세우고 있다.

비용측면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코스닥이 거래소에 통합돼 있어야 할지, 벤처들을 위한 장을 독립적으로 마련해야 코스닥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지는 누구도 자신할 수 없다. 하지만 결론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증권 당국은 곧 코스닥 시장 분리 문제와 관련한 향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코스닥시장을 거래소 자회사로 내부적으로 분리하는 방안으로 갈 공산이 크다고 한다.

그러나 시장을 분리하건 통합개선하건 개혁의 목적은 각자의 밥그릇에 대한 배려 부분이 우선시 되어선 안될 것이다. 오로지 투자자와 기업, 시장 살리기에 정책이 집중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한번 강조하고 싶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