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그리스 사태와 중국 증시의 급락, 중동호홉기증후군(메르스) 여파 등 국내외 악재가 어느정도 해소되면서 국내 증시도 서서히 회복될 조짐이다.

마침 증시 활성화를 위해 일일 상하한가 등락폭을 30%로 넓힌 이후 코스닥 시장 거래량이 유가증권시장 규모에 육박하는 등 개인투자자의 시장 참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잠잠했던 증시의 불공정 거래행위 역시 늘어날 조짐을 보인다. 잔칫상에는 파리가 꼬이기 마련이다. 증권감독 당국의 대처가 엄격해질 필요가 있다.

일례로 면세점 사업자 선정에서 한화갤러리아가 사전 정보 유출 의혹을 받고 있고, 한미약품 신약개발건도 마찬가지 의혹이 제기됐다. 내츄럴엔도텍 가짜백수오 발표 전 경영진의 주식 매도 의혹도 있었고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우선주 주가의 이상 급등 같은 사례도 있다.

이러한 부당 행위들의 형태는 크게 4가지다.

첫번째가 회사내부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미리 주식을 거래하는 것이다. 대부분 내부자가 연루되는 사례가 많다.

두번째가 풍문유포와 가짜시세이용, 중요정보의 부실표시로 투자자를 기망하는 행위다.

다음으로 가장 흔한 불공정 행위인 주가조작이 있다. 통칭 `작전'이라고 하는 이런 유형은 특정 세력이 인위적으로 주가를 상승 또는 하락시키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브로커들이 담합하는 사례가 많다. 다수의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기 때문에 파장이 크다.

마지막으로 내부자의 단기매매 차익거래가 대표적인 형태다. 자신이 근무하는 회사주식을 6개월 이내에 매매해 차익을 얻는 사례다.

자본시장의 불공정거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며, 신종 금융상품의 증가와 IT발달로 그 수법도 교묘해지고 있다.

올해 초 금융감독원은 주식시장 불공정거래에 대한 기획조사를 확대하고, 기관투자자 등에 대한 조사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단기과열종목을 비롯해 매매거래정지와 예고, 투자위험 및 투자 경고, 투자주의, 조회공시 답변 또는 요구 종목은 6개월간 3천750개로 월평균 625개에 달해 이전대비 점차 늘고 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지난 1일부터 '시장질서교란행위'에 대한 규제가 신설됨에 따라 처벌 내지 조사 대상이 확대돼 감시 대상 종목이 늘어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불공정 거래에 역외 `큰 손'이 개입할 경우다.

최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조사단을 구성해 증시폭락이 알리바바그룹과 관련이 있는 한 기업의 주식거래 시스템에서 비롯됐다는 소문의 진상을 캐고 있다고 한다. 또, 중국 주가 폭락과 관련해 외국계 금융기업이 대규모 자금을 활용해 적대적 공매도에 나섰다는 루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증권당국 역시 국내 시장을 타깃으로 한 외국계 거대자본의 불법적 공격에 대한 대처방안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