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 부실채권 유동화 등을 담당하는 금융지주 산하 신용정보회사들에 때아닌 불똥이 튀었다.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등 정책지원 조치가 길어지면서 채권 모수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이 따르면 일부 지주계열 신용정보회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다소 하락했다.

KB신용정보는 올해 1분기 7천800만원으로, 지난 1분기 1억6천800만원보다 줄었다.

우리신용정보는 지난해 1분기 9억700만원에서 올해 1분기 마이너스(-) 24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용정보회사는 순이익 규모가 크지 않은 곳이지만, 은행과 카드, 캐피탈 등 주요 계열사와 연관이 큰 계열사이기도 하다. 주요 계열사들이 내부에서 채권을 분류한 후 유동화가 필요한 채권들을 신용정보회사로 넘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이어지면서 신용정보회사로 넘어오는 채권 규모가 줄어들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실제로 배드본드가 넘어오는 물량은 확실히 감소하고 있다"며 "정책지원에 발맞춘 은행권의 대출 유예 등의 영향이 없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감원의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신규 연체채권 규모는 8천억원이다. 지난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조3천억원, 1조2천억원이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도 눈에 띄게 줄었다. 지난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4조4천억원, 3조3천억원으로 나타났던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지난해 2조1천억원으로 줄었다.

한편 지주 산하 신용정보회사 실적에는 은행 외 다른 계열사의 채권이 유입됐거나 담보 가치가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 부문이나 오토론과 관련해 넘어가는 채권들이 꾸준히 있는 데다 2년 전 사들인 채권이 이익 전환된 것도 반영되고 있다"며 "담보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것도 특이요인 중 하나"라고 귀띔했다. (정책금융부 김예원 기자)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3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