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테슬라, 바이두 등 대형 기술기업들이 자체 반도체 생산에 착수하고 있어 배경이 주목된다고 CNBC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액센추어의 사이에드 알람 세계 반도체 리더는 "점차 이들 회사는 경쟁자들과 함께 사용하는 범용 반도체 대신 자사의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맞춤형 반도체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람 리더는 "이렇게 하는 것은 경쟁자들과 차별화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통합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영국의 다이얼로그 세미컨덕터사의 전직 비집행임원이었던 러스 쇼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고객 맞춤형 반도체가 성능도 좋고 운영비용도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쇼는 "이렇게 특별하게 설계된 반도체는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관련된다면 특정 기술기업의 제품과 장치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도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세계 반도체 공급이 부족한 점도 대형 기술기업이 자체 반도체를 재고하는 다른 이유라고 분석회사인 포레스터의 글렌 오도넬 리서치 디렉터는 설명했다.

그는 "팬데믹은 공급망에 큰 렌치를 집어 던졌고 이것이 자체 반도체 생산 노력을 가속했다"며 "많은 기술기업이 자체 혁신 속도가 반도체 생산자의 일정에 제한받고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주요 기술기업의 자체 반도체 생산 발표 이력을 살펴보면 애플이 지난 2020년 11월 인텔의 x86반도체에서 자체 생산하는 M1프로세서로 옮겨간다고 발표했고 현재 iMac과 iPad에 사용 중이다.

테슬라는 지난달 데이터센터에서 인공지능(AI)을 훈련하기 위해 '도조'(Dojo) 반도체를 짓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부터 도로 상황에 대응하면서 결정을 내리는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자체 AI반도체를 차량에 탑재하기 시작했다.

바이두는 지난달 대규모 데이터 처리장치를 지원하고 계산능력을 향상하도록 설계된 AI반도체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바이두는 쿤룬2 반도체가 자율주행과 같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구글은 크롬노트북에 들어갈 자체 중앙처리장치(CPU) 출시가 임박했다는 보도가 반복해서 나오고 있다. 닛케이 아시아의 지난 1일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2023년부터 크롬운영시스템을 이용하는 크롬북과 태블릿에 자체 CPU를 사용할 예정이다. 구글은 이에 대한 CNBC의 언급 요청에 대응하지 않았다.

아마존은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자체 네트워크 반도체를 개발 중이다. 만약 성공하게 되면 브로드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게 된다.

페이스북의 AI 수장은 지난 2019년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설계와는 아주 다른 새로운 종류의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형 기술기업들이 자체 반도체를 생산한다고 해서 모든 것을 직접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쇼는 "모든 것들은 반도체의 성능에 대한 것"이라며 "현 단계에서 제조와 파운드리에 대한 것은 아니다. 이들 과정은 아주 비용이 많이 든다"고 말했다.

대만의 TSMC와 같은 반도체 공장을 짓는 데에는 100억 달러가량의 비용과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오도넬 디렉터는 "구글과 애플도 공장 건설에는 침묵한다"며 "이들은 TSMC나 인텔에 반도체를 만들어 달라고 찾아갈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실리콘 밸리는 지난 수십 년간 소프트웨어에 너무 많은 열정을 쏟아부어 헤드웨어 기술은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보였다"며 고사양 프로세서를 설계할 기술을 갖춘 인력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2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