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총선'이 금융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하는 마법의 단어로 급부상하는 모양새다.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은 물론 지난해 채권시장 구축 효과를 이끈 한전채 등 각종 금융 리스크가 총선 앞에서 힘을 잃고 있다.

1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시장 불안이 이어지면서 PF 부실 등에 대한 우려가 가중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내년 총선 전까진 큰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해지고 있다.

PF의 경우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부동산 하강 우려와 함께 시장 모니터링 요소로 부상해왔다. 지난해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와 국내 주택 분양률 저하 등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 현상이 두드러지자 최근 PF에 대한 시선은 더욱 차가워졌다.

그 어느 때보다 리스크가 커졌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증권가에서는 당장 눈앞이 아닌 내년 총선을 바라보고 있다.

A 업계 관계자는 "PF 등의 경우 지난해 연말에 만기를 연장해준 터라 부실이 현실화할 수 있는 시기는 6월 이후로 미뤄진 상황"이라며 "이후 옥석 가리기의 일환으로 손실 처리 등에 나설 순 있겠지만 총선을 앞두고 있다 보니 큰 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책 등으로 막아줄 거라는 믿음이 확산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PF 리스크를 막기 위한 움직임은 이미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금융당국과 전 금융권은 'PF 대주단 협약식'을 통해 PF 사업장 3천600곳에 대한 만기 연장·상환유예 등 채권 재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총선 이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PF 부실을 피할 순 없는 만큼 이는 결국 수면 위로 드러날 총선 이후 더 큰 피해로 작용할 수 있다.

B 업계 관계자는 "내년 선거를 앞두고 시장에선 PF 리스크 등을 총선까진 막아줄 것이란 관측이 커졌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해 이후 더 큰 대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총선이 화두가 된 곳은 이뿐만이 아니다. 정치권에서는 민생 등과 연결 짓던 전기요금 인상안이 시장에서도 도마 위에 오른 상황이다. 한국전력공사의 적자 실적이 한전채 발행량 급증으로 이어졌던 만큼 해당 사태의 원인이 된 전기요금 향방이 채권시장 수급 측면에서도 관건이 됐다.

하지만 전기요금과 한전채 사태 또한 총선 앞에서 방향성을 잃은 모습이다. 2분기가 40여일 지나도록 이번 분기 요금 향방이 결정되지 않은 데다 한 자릿수 인상안 등이 제기되면서 적자 실적 해소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C 업계 관계자는 "내년 총선까지 전기요금을 올리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그나마 금리 인상 얘기가 사라지면서 유동성의 힘으로 물량을 소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총선 이벤트는 추가경정예산(추경) 이슈로 이어지고 있다.

세수 부족과 경기둔화 압력에 더해 총선을 앞두고 지출을 줄이기 어려워지면서 '추경은 없다'는 정부의 선 긋기에도 증권가의 의심은 계속되고 있다. 추경 편성으로 국채 발행이 증가할 경우 시장 전반의 가산금리(스프레드) 부담을 높일 수 있다.

D 업계 관계자는 "추경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 경우 국채 공급이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시장 스프레드를 높이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며 "정치적으로 연결된 잠재 요인으로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투자금융부 피혜림 기자)

phl@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3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