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엄재현 기자 = 부실기업의 구조조정 지연이 정상적인 기업의 고용과 투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8일 '부실기업 구조조정 지연의 부정적 파급 효과' 보고서에서 금융지원을 받은 잠재 부실기업(좀비기업)의 구조조정 지연이 정상기업의 고용 증가율과 투자율을 저해한다고 설명했다.

KDI는 "한 산업의 좀비기업 자산 비중이 10.0%포인트 만큼 높아지면 해당 산업에 속한 정상기업의 고용 증가율과 투자율은 각각 0.53%포인트, 0.18%포인트가량 하락한다"고 분석했다.

또 KDI는 현재 전체 기업 자산의 15.6%로 추정되는 좀비기업의 자산 비중을 10.0%포인트 하락시키면 정상기업의 고용이 11만명 내외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KDI는 "보고서에서의 좀비기업 정의가 기존 자료보다 보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경제에 상당히 많은 좀비기업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금융위기 이후 조선업 등 기타 운송장비 부문과 건설업에서의 좀비기업 증가가 두드러졌다고 KDI는 진단했다. 2010년 이후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며 좀비기업의 자산 비중이 빠른 속도로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KDI는 이 같은 좀비기업의 자산비중 증가 여파가 제조업에서는 정상기업의 투자, 서비스업에서는 고용 증가율에 각각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또 좀비기업 자산 비중 증가 원인으로 잠재 부실기업에 대한 대출만기 연장을 지목하며 금융지원 관행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KDI는 "금융위기 이후 기타 운송장비와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구조조정이 지체되는 중"이라며 "또 만기 연장을 받은 좀비기업이 증가했다는 사실은 금융위기 이후 금융기관들이 부실기업의 대출만기 연장과 신규 지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보여왔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KDI는 "경제 전반의 역동성 제고를 위해 금융지원 관행을 개선하고, 기업 구조조정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최근 성장성이 한계에 도달했고, 수익성이 약화된 조선업과 건설업 등에 대한 구조조정을 우선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jheo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