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우리나라가 러시아와 협력해서 극동지역에 진출해야 한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지하자원이 풍부한 극동지역에서 산업 분야를 개척하면 통일 이후 중국과 몽골을 잇는 경제권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상준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장은 29일 연합인포맥스가 주최한 '제3회 통일금융 컨퍼런스' 주제발표에서 "러시아가 추진 중인 선도개발구역과 자유항을 활용하고 중국-몽골-러시아 경제 회랑의 개발과 연계해야 한다"며 통일에 대비한 러시아와의 협력 필요성을 주장했다.

러시아는 '2025 극동·바이칼지역 사회·경제 발전 국가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경제 효율성 향상과 광물·삼림·수산업 복합체 개발 등 12개 하위 프로그램을 정해 극동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선 상태다. 선도개발구역과 자유항도 지정해 국경 간 무역을 촉진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다.

이런 러시아의 개발계획은 중국의 일대일로에서 제시된 6대 경제 회랑인 '중몽러 경제 회랑'과도 맞닿는다. 중국은 국경이 인접한 국가들과 협력해 경제 회랑을 만든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가 통일을 대비해 극동지역에 진출하면 이 경제 회랑과도 가까워지는 셈이다.

이 본부장은 극동지역의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했다.

극동지역은 러시아 영토의 약 36%면서 지리적으로 유라시아 대륙과 환태평양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원유와 천연가스 등 약 6천여종의 풍부한 천연지하자원도 지녔다.

현재 극동러시아 산업 총생산 중에서 외국 기업의 총생산 비율은 광산과 채석이 가장 높다. 제조업과 부동산업도 외국 기업이 상당하다.





하지만 극동지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은 약 60여개로 활동이 저조하다. 현지 진출 경험이 부족해 중국과 일본에 뒤져 소극적인 양상이라고 이 본부장은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물류 가공중심의 경제특구를 블라디보스토크 인근에 시범적으로 조성하고 민관협력과 다자컨소시엄을 구성해 투자유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제특구를 제약하는 제도적, 물리적 장애요인 제거를 위한 관련국간 정책협력이 필요하고 북한 측의 참여와 협력도 도출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