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신한금융지주가 지방자치단체 사업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그간 은행 등이 민자사업에서 전통적으로 해온 금융주선의 역할을 뛰어넘어 지자체를 대상으로 먼저 개발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이를 수주, 금융산업 영업의 블루오션을 개척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최근 지방자치단체 사업개발 태스크포스팀(TFT)을 발족하고 관련 논의를 시작했다.

현재는 일본과 미국, 유럽 등 해외 지자체 사업개발 사례에 대해 연구 중이다. 이후 벤치마킹이 가능한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개별 지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 개발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사업 영역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비롯해 철도, 도로, 주택 등 사회기반시설 구축은 물론 도시재생, 문화사업 등 해당 지자체에 필요한 분야라면 제한 없이 검토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서울과 부산 등 광역시보단 소규모 지자체의 사업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대도시의 경우 자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여력이 충분하지만, 소도시는 개발 역량이나 보유 자금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후 사업개발에 필요한 대출은 신한은행과 제주은행, 투자는 신한캐피탈, 금융주선에 필요한 구조화 작업은 신한금융투자를 중심으로 그룹 내 협업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해외 사례에 대한 연구와 사업개발에는 최소 6개월 정도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내년 1분기부터 지자체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사업 수주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주 중심으로 구축된 TFT는 개별 지자체에 제시할 프로젝트가 마련되는 대로 그룹 차원으로 전환, 인력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신한금융 고위 관계자는 "소규모 지자체의 경우 민자사업에 대한 수요가 많지만, 자금조달과 사업수행 과정에서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지역경제 발전은 물론 지자체를 공략하는 새로운 영업 전략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권은 신한금융의 이러한 도전에 대해 수익형 민자사업에 주도적으로 뛰어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간 은행을 중심으로 공장이나 발전소 건설, 항공기 금융 등 민자프로젝트에 금융주선을 하는 사례는 많았다. 하지만 대출 중심의 금융주선은 이자와 수수료 정도의 수익을 올리는 정도다.

수익형 민자사업을 금융회사가 주도할 경우 사업 착수 단계부터 심사를 통해 리스크 관리를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데다, 인프라 구축에 따른 사용료를 얻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제2, 제3의 영업 기회를 선점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최근 지자체 금고ㆍ주거래은행이 되기 위한 출혈경쟁이 극에 달하면서 현재의 기관영업으로는 수익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지자체 사업개발은 금융회사 영업의 새로운 시장이 될 수 있는 셈이다.

리딩뱅크 왕좌를 둘러싼 신한금융과 KB금융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조용병 회장은 줄곧 기존의 전략이 아닌 새로운 영업 돌파구를 찾을 것을 주문해왔다.

이번 아이디어 역시 평소 지자체 영업에 관심이 큰 조 회장이 직접 낸 것으로 알려졌다. 조력자가 아닌 선도자로서의 금융 역할을 강조하며 지자체 사업과 지역 균형 발전에 이를 접목했다는 후문이다.

실제로 조 회장은 신한은행장 시절 지자체와의 다양한 업무협약(MOU)이나 제휴를 통해 영업 인프라를 구축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지방 고객의 접점을 넓히기 위한 현장경영도 유난히 많이 다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주 차원에서 캐피탈사 등을 활용한 투자처를 넓혀 생산적인 곳으로 자금이 흐르는 동시에 금융회사의 경쟁력도 키울 수 있다면 좋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