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곽세연 기자 =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대체투자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침 개선에 나선다.

17일 국민연금에 따르면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1분기에 자산 건전성 분류 지침 분석, 검토해 개정 필요사항을 도출했다.

부실화됐거나 부실징후가 발생한 대출자산의 점검주기를 현행 반기별에서 분기별로 단축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는데, 올해 말 개정 완료될 예정이다.

대출형 자산이란 부동산, 인프라 자산, 기업인수 등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펀드 등에 국민연금기금이 직접 대출한 자산을 의미한다. 지분으로 투자한 지분형 자산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또 기금운용본부는 이런 대출자산의 채무상환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 발견되면 즉시 채무상태, 원리금 연체 수준 등의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을 추가적으로 고려키로 했다.

이와 함께 기금운용본부는 개별 건별 관리 방식에서 다양한 기준(국내외, 자산유형별, 운용사 등)으로 대체투자 위험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대체투자가 점차 증가하고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투자정보의 통합관리와 현금흐름(투자금액, 투자잔액, 회수금액 등)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올해 말부터는 이 시스템을 통해 대체투자 자산 특성별로 세부 속성 정보를 관리·분석해 투자의사 결정, 리스크 관리 및 성과평가 등의 업무를 지원할 예정이다.

2002년 벤처투자조합 간접투자로 대체투자를 시작한 국민연금기금은 중장기 기금운용 마스터 플랜 수립을 통해 2005년부터 사회간접자본(SOC), 부동산, 사모펀드(PEF) 등 부문별 대체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다양한 수익, 위험구조를 가진 자산을 발굴해 투자 위험을 분산하고 수익률을 제고하기 위해 2006년에 해외 대체투자를 시작했고, 2016년에는 헤지펀드 투자도 시작했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수익이 확보되지 않자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가 확대됐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대체투자는 투자 위험을 정형화하기 곤란하고,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면서 더욱 정교한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커졌다"며 "대체투자는 전통자산과 비교할 때 레버리지 리스크, 낮은 유동성 등의 위험이 있는데, 투자의사 결정, 집행과 운용 전 과정에서 위험요인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 규모는 약 63조5천억 원으로, 전체 금융자산(약 597조 원)의 10.7% 수준이다.

대체투자 자산 중 국내 대체투자는 21조8천억 원으로 34.4%, 해외 대체투자는 41조6천억 원으로 65.6%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부동산 39.3%(국내 10.0%, 해외 29.3%), 인프라 29.6%(국내 12.8%, 해외 16.8%), 기타 사모 대체투자 29.3%(국내 11.7%, 해외 17.6%), 헤지펀드 1.8% 순이다.

sykwak@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