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은행연합회가 설립 90년 만에 처음으로 회장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를 구성해 수장을 뽑는다.

1928년 11월 사단법인 형태인 경성은행집회소로 출발한 은행연합회는 그간 회원사 사원총회의 추대 방식으로 회장을 선출해 왔으나, 선출 절차와 과정에 대한 투명성 논란이 지속해 왔다.

특히 금융당국 등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상황에서 회장 선임과 관련한 낙하산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오는 11월 하영구 회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것을 계기로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절차 개선을 위해 정관 변경 작업을 추진한다.

정관 변경의 핵심은 회장 선출을 위한 회추위 구성이다.

현재 주요 금융권 협회 중에 회추위가 없는 곳은 은행연합회가 유일하다.

현행 은행연합회 정관은 22개 회원사 은행장으로 구성된 사원총회가 차기 회장을 추대하게 돼 있다.

통상 총회가 열리기 전 시중은행과 특수은행, 지방은행 대표 10인 이내로 구성되는 이사회에서 사실상 은행협회장이 내정된다.

은행이 다른 금융사와 달리 정책적 자금공급자의 역할을 하는 만큼 선거 등을 통한 잡음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있어야 하는 측면이 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밀실 낙하산 인사를 위한 불투명한 선출 절차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았다. 그로 인해 관치금융에 휘둘린다는 비판도 많았다.

실제 역대 은행연합회장 중 민간 출신 인사는 국민은행장을 지낸 이상철 회장과 한미은행장을 지낸 신동혁 회장 정도였다.

한미은행장과 씨티은행장을 지낸 현 하영구 회장이 지난 2014년 회장으로 선임될 당시 11년 만의 민간 출신이라는 점이 주목을 받을 정도였다.

은행연합회가 회추위 구성을 담은 정관 변경을 추진하는 것은 회장 선출 과정의 투명성과 정당성을 높여 보려는 차원이 강하다.

정관 변경을 위해서는 사원은행 3분의 1 이상이 발의해 총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한 시중은행장은 "금융회사를 포함해 지배구조에 대한 명확성과 책임의식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를 고려했을 때 연합회 역시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다"면서 "은행권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사들로 회추위를 구성한다면 그러한 부분을 충분히 담을 수 있을 것 같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