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정부가 올해 2조6천억 원 규모의 혁신모험펀드를 조성해 창업ㆍ벤처 등 혁신기업에 신속히 자금을 공급한다.

정책금융은 물론 시중은행까지 이들 기업에 대한 대출을 늘리고, 민간 부문의 투자가 늘어날 수 있는 인센티브 방안도 마련했다.

기획재정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 관계부처는 17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혁신모험펀드 조성ㆍ운영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해 11?%9



b? 발표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 중 오는 2020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혁신모험펀드를 조성하기로 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우선 정부는 올해 2조6천억 원의 혁신모험펀드를 1차로 조성하기로 했다.

공공부문에서 재정 3천억 원과 정책금융기관 6천억 원, 기존 성장사다리펀드의 회수재원 2천억 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도 1조5천억 원 투입한다.

정부는 오는 3월까지 혁신모험펀드를 운용할 민간운용사를 선정해 9월까지 펀드를 결성, 연내 투자가 실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연계한 20조 원 규모의 대출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이 향후 3년간 재정 출연을 바탕으로 총 2조 원의 보증부 대출을 공급한다. 대출 규모는 펀드 투자금액의 2배 범위까지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산은캐피탈은 혁신모험펀드가 투자하는 기업에 저리로 15조4천억 원 규모의 대출을 제공할 예정이다.

신ㆍ기보가 공급하는 2조 원 규모의 보증프로그램을 활용해 시중은행도 4조6천억 원의 대출을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그간 혁신기업에 대한 대출을 꺼려온 민간 부문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마련했다.

혁신모험펀드가 출자한 자(子)펀드에 대해서는 보통주 투자비중을 30% 이상 투자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자펀드의 보통주 투자비중은 20% 수준. 만기상환 청구가 가능한 상환우선주에 대한 투자가 48.4%로 절반 수준을 차지하고 있어서다.

상환우선주는 직접적인 채무는 아니지만, 만기 상환 가능성 자체를 담보로 하는만큼 창업 기업인이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일부 벤처캐피탈은 상환청구권 행사를 통해 창업자 개인이 채무를 상환할 것을 강요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보통주 투자방식 비중을 높게 제안하는 운용사에 선정 과정에서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또한 보통주 투자비중을 40% 이상으로 제안하면 초과수익의 10% 이내 성과보수를 지급하는 등 보통주 투자비중이 높을수록 더 많은 초과수익을 가져갈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선보일 예정이다.

오는 3월에는 혁신모험펀드 운영의 투명성을 강화하고자 민간 전문가 중심의 자문위원회와 운영위원회도 발족한다.

또한 정책펀드 출자사업 운용사 선정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운용사 선정위원회도 별도로 구성하기로 했다.

혁신모험펀드를 통해 투자받은 기업이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이들 기업에 대한 투자이력 관리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정책펀드가 출자한 자펀드가 투자한 기업의 기본 정보는 물론 투자금액과 지분율 등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투자 성과를 점검하고 투자의 연속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 경제의 질적 고도화를 위해서는 창업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며 "기술혁신 창업 활성화와 벤처 투자의 선순환을 위해 혁신모험펀드가 주요국 수준으로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릴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