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 미국 경제가 재정 적자 확대로 부채 부담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의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14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미국 투자자는 부채 위기에 따른 패닉 버튼을 누르기 전에 일본을 관찰하고 싶을지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세계 3대 경제 국가인 일본은 세계에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최상위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부채 위기를 겪지 않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다는 게 골드만의 평가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일본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작년 기준 236%로, 108%인 미국의 두 배를 넘는다.

일본과 미국 경제는 여러 공통점도 있다.

자국통화로 채권을 발행하는 데다 변동환율제도를 적용하고, 중앙은행을 통제하기도 한다. 이런 특징을 가진 국가에서는 부채 위기를 상상하기 어렵다고 골드만은 분석했다.

다만,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향후 2년간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1조달러가 넘는 감세 정책과 임의적인 정부 지출 등 '쌍둥이' 부양조치가 취해진다.

크레디트스위스(CS)에 따르면 작년 미국의 부채상환비용은 GDP 대비 1.4%였지만, 오는 2028년에는 2.8%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골드만은 "미국과 일본 경제의 공통점을 봐서는 미국이 부채부담 문제를 겪지 않을 수도 있지만, 미국의 부담이 더욱 큰 골칫거리가 될 것을 시사하는 주요 차이점도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과 달리 일본 채권시장은 과도한 재정적자에 민감한 외국인 투자자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편이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일본 채권의 90% 가까이 일본은행을 비롯한 국내 투자자가 보유 중이다. 반대로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미국 개인이나 금융기관이 보유한 미국 국채 비중은 60% 미만이다.

일본 채권시장은 투자자의 자국 편향성으로 해외 금리가 훨씬 높을 때도 자금을 해외시장에 크게 투자하지 않는다. 현재 일본 10년물 국채금리는 0.05%에 불과하다.

골드만은 "일본은행의 양적완화종료가 채권금리 상승을 촉발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 부채의 공급 물량이 대규모 시장에 넘어오면 채권금리는 상승 압력을 받지만, 일본의 경우 그런 압력이 제한된다고 이들은 덧붙였다.

일본은행이 이미 대규모로 일본 국채를 보유하면서 외국인 비중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연준 역시 미국 국채를 투자하지만 총 발행잔액 대비 비중은 일본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골드만은 "일본은행의 초저금리정책과 국채매입운영은 채권금리를 고정시켰다"며 "트레이더는 국채를 매도하면서 수익을 내려고 하지만 그런 베팅은 시장에서 '매우 위험한 짓(widowmaker)'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골드만은 "미국의 경우 부채상환비용이 채권금리의 상승과 더욱 악화하는 기초재정수지(재정수지에서 국채 이자를 제외한 것)로 인해 향후 10년간 악화한 궤적을 보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성장 경로가 일본을 앞서는 것은 부채 부담을 일본보다 더욱 줄여주는 요인으로 언급됐다.

골드만은 "미국 성장률과 채권금리의 격차는 일본보다 훨씬 좁다"며 "다시 말하면 미국 경제는 부채상환비용의 속도를 따라잡을 만큼 빠르게 성장한다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어서 "반대로 일본은 명목 이자율이 제로 수준으로 떨어진 지난 1990년대 '잃어버린 10년'을 지난 이후로 부채상환비용을 충당할 만큼의 성장세를 보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ywkw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