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5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소수의견도 매파 신호도 없었지만, 채권시장 전문가 대부분은 여전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올해 7~8월로 예상했다.

국내외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28일 이주열 한은 총재의 국내 경제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긍정적인 가운데 미국과의 금리 역전 폭이 심화되는 점,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여건이 나빠져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는 점 등을 7~8월 인상 전망의 주요 이유로 꼽았다.

지난 24일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만장일치 동결을 예상하는 투자자와 소수의견을 기대했던 투자자들의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했다.

만장일치 동결이 나올 경우 이주열 총재가 금리 인상 신호를 줄 것이란 예상도 있었지만, 총재의 기자간담회는 중립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금통위 이후 코멘트를 내놓은 국내외 증권사 등 23개 기관의 금리 인상 전망을 살펴보면 23개 기관 중 8개 기관이 7월에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고 8월 인상을 주장하는 기관은 6곳이었다. 7~8월 가능성을 모두 열어둔 기관은 3곳이었고, 4분기 인상은 1곳이었다.

올해 인상이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한 기관도 2곳이나 나왔다.





◇ 7월이냐 8월이냐…팽팽한 대립

7~8월 인상을 주장하는 전문가들의 논리는 비슷했다.

이들은 지난 금통위에서 특별한 통화정책방향 문구 변화가 없었고 한은 총재가 국내 경기에 대해 긍정적인 진단을 유지하는 등 상황이 크게 달라진 것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가 부진해질 수 있어 올릴 수 있을 때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5월 소수의견 없이 7월 인상이 가능하다"며 "7월에도 금리를 올릴 수 없다면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 인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고 말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권은 "한은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유효하지만, 5월 금통위에서는 금리 인상에 대한 뚜렷한 메시지나 신호가 없었다"며 "과거 인상 전 소수의견 등 사전 시그널이 제시됐다는 점에서 7월 시그널 제시 후 8월 금리 인상을 전망한다"고 전했다.

◇4분기 인상·연내 인상 불가론도 등장

시장 내부에서 다수 의견은 아니지만, 4분기 인상 전망과 연내 인상 불가 주장도 나왔다.

4분기 인상의 주요 근거는 3분기에는 근로시간과 최저임금, 통상압박 등 정책 관련 이슈가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좀 더 지켜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통화정책 결정에서 한은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이 정책 여력 확보나 자금유출 위험보다 실물경제 쪽에 무게가 실린 것 같다"며 "자동차 통상압박 추가와 하반기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의 혼선과 심리 위축이 생산성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 등의 요인을 감안할 때 3분기 금리 인상 명분을 찾기 어렵다"고 전했다.

올해 한국의 금리 인상이 없다고 전망한 기관도 있었다. 소시에테제네랄(SG)과 호주뉴질랜드은행(ANZ) 2곳인데, 이들 기관은 한국의 경제 활동 둔화를 주요 근거로 제시했다.

오석태 SG 이코노미스트는 "2분기 성장세가 1분기 대비 둔화했을 것"이라며 "7월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동시에 금리를 올리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고 주장했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