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KT가 드론과 로봇 등을 활용한 재난안전 통신망을 25일 공개했다. 연내에는 글로벌 표준으로도 등록할 계획이다.

이번에 KT가 새롭게 선보인 '스카이십(Skyship) 플랫폼'은 비행체인 스카이십과 스카이십 씨쓰리(C3ㆍ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스테이션, 드론, 로봇으로 구성된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조난된 사람의 휴대폰 신호를 통신사와 연동해 개인 정보를 빠르게 구조센터나 의료기관에 전달하는 기술이다.





(그림: KT 스카이십, 씨쓰리스테이션)

재난안전통신망과 주민등록 정보, 의료기록 데이터를 연동하게 되면 관련 정보를 의료기관에 전달해 빠르고 정확한 응급조치도 가능해진다고 KT는 설명했다.

스카이십은 무인 비행선 드론으로 지난해 처음 공개됐다. 비행시간은 최대 8시간으로 25km까지 비행할 수 있다.

스카이십에 추진체, 임무수행 장비를 탑재하는 스카이십팟(Skyship pod), 휴대 신호 기반의 조난자 탐색 솔루션인 스카이스캔(Skyscan) 등이 탑재, 재난안전에 특화된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스카이십이라는 비행선이 사고 발생 지점 근처까지 가면 스카이스캔이 적외선, 통신 전파, 가시광선 등을 활용해 조난자의 구체적인 위치를 찾는다. 위치가 확인되면 소형 드론이 정밀 탐색을 하게 된다.

드론과 함께 스카이십 로봇도 조난자에게 출동한다. 구조대가 오기 전에 응급 약품을 먼저 전달하거나 로봇에 설치된 마이크, 카메라 등을 통해 의료 시설에 재빠르게 조난자의 상태를 전달하기 위해서다.





(그림2: 조난자를 스카이십 드론, 스카이십 로봇을 이용해 구조하는 장면)

스카이십 씨쓰리 스테이션의 경우 스카이십과 실시간 통신을 통해 신속하게 현장 지원을 하고 각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이동형 통제센터다. 내부에는 9개의 모니터가 설치돼있어 통신 기체의 상태 확인 및 촬영 영상 모니터링 등을 할 수 있다.





(그림3: 스카이십 씨쓰리 스테이션 내부)

KT의 재난안전 솔루션은 올해 11월 이동통신 표준화 국제협력기구(3GPP)에서 정식으로 글로벌 표준화 기술로 등록될 예정이다.

다만 드론, 스카이십, 로봇의 이동 거리 차이 등은 한계점으로 남아있다.

현재는 드론을 씨스리 스테이션 등의 트럭에 싣고 이동하는데 스카이십은 100km 정도를 이동할 수 있는 반면, 드론은 25km만 움직여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이다. 또 로봇 역시 3km정도 밖에 움직일 수 없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 겸 사장은 "KT는 지난 수년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안전 분야의 기술을 선도해왔다"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 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25년까지 더 발전된 모습으로 개발할 것"이라며 "국민 안전을 담보하는 국가재난안전망이 되도록 갖고 있는 기술 등을 활용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마무리했다.

kl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