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집을 다 지었는데도 팔리지 않은 주택이 지방을 중심으로 3년 만에 최대치로 기록했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모양새로, 지역별로 세분화된 정책처방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악성 재고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6월 기준으로 1만3천348호로 집계되며 2015년 3월 이후 가장 많았다.





전체 미분양 주택도 6만2천50호로 약 2년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분양 물량 집계가 건설사 제출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데, 건설사가 이를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는 만큼 실제 미분양은 더 많을 수도 있다.





지방 부동산시장 냉각은 집값이 다시 오르기 시작한 서울 분위기와 상반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08% 상승하며 4주 연속 올랐다. 보유세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여의도 통합개발, 용산 마스터플랜에 대한 기대감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울의 지난달 미분양 물량은 47건에 불과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매매와 전·월세 가격이 안정세로 접어들고 있다고 자평했지만, 투기세력을 잡느라 지방 침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시장 과열이 재연된다면 즉각 추가대책을 마련해 시장 안정 기조를 더욱 단단하게 하고, 공급과잉으로 침체가 우려되는 곳은 서민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팀장은 "지방은 미분양이 많지만 서울은 거의 없는 등 지역별 편차가 크다"며 "서울은 뉴스에도 가격이 들썩이는 등 불안한 모습이라 수요억제책이 필요하지만 지방은 미분양 적체를 해소할 지역별 완화정책, 차등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공급이 지나치게 늘어날 데 대비해 미분양 관리지역 사업장의 경우 HUG분양보증료를 5% 할증하기로 했다.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미분양이 획기적으로 늘어난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계속해서 시장을 모니터링하면서 미분양관리지역을 재조정하는 방법 등을 검토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