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가 주택 투기수요를 차단하기 위해 각종 규제를 꺼내 들었지만, 분양권을 앞세운 주택거래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제성장률과 금리 등 거시경제환경이 불안한 상황에서 자칫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3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올해 생산가능인구(15~64세) 1천명당 주택거래는 47.7건으로 추정됐다.

올해 상반기 23.8건 거래됐는데, 지금과 같은 추세를 이어간다는 가정으로 분석했다. 주택거래는 매매와 분양권 등 모든 형태의 거래를 포함한다.





이대로라면 올해 생산가능인구 1천명당 주택거래는 역대 최고치에 오르게 된다. 2년 연속 증가세기도 하다.

전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며 주택시장 규제가 강한 서울은 올해 생산가능인구 1천명당 37.7건의 주택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전년보다 0.4건 줄어든다. 서울과 가까우면서 규제 사각지대가 있는 인천·경기는 56.0건으로 전망됐다. 전년보다 3.0건 늘어난다.

지방은 올해 46.3건으로 보합으로 판단됐다. 다만, 세종(192.7건)을 필두로 광주(61.4), 대전(42.3) 등 대도시와 강원(53.4), 전북(56.9), 충북(48.6) 등 일부 지역은 전년보다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직방은 내다봤다.

기존주택 매매가 아닌 분양권 등의 거래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분양이 활발해 분양권 매물이 풍부하게 나왔는데 기존주택 매매보다 매수비용 부담이 적다"며 "새 아파트 선호 현상까지 겹쳐 청약시장과 신규 주택에 대한 프리미엄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분양권을 앞세운 주택거래는 경제 상황에 따라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단기 투기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린다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지만, 성장률은 이전보다 침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섞이는 상태다.

최 매니저는 "비 매매거래에 머무는 수요층은 앞으로 매매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대기 수요로서 작용할 수 있지만, 단기·레버러지 효과에 기댄 투기적 수요에 따른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특히 주택 보유나 거주보다는 단기 투자성거래의 경우 금리 인상 등의 경제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만큼 투자자와 정책당국의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