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부동산시장 양극화에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공약인 도시재생 뉴딜이 지방부동산 분위기를 반전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주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겠지만, 도시경쟁력 제고와 가구유입이 동반되지 않으면 양극화 현상은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30일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5월부터 석 달간 전국 주택매매가격지수(종합주택유형)는 0.6% 상승했다.

수도권이 0.8%, 지방권이 0.3% 올랐고 6대광역시는 0.4% 높아졌다.

수도권에서 서울(1.4%)의 수치를 제외하면 경기도(0.5%)와 인천(0.4%)의 집값 상승률이 다른 광역시, 지방권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핵심공약인 도시재생에 대한 기대가 주요 지방에도 고루 퍼졌다. 시(市) 단위 이상을 기준으로 이 기간에 집값이 내려간 지역은 16곳이었다.

집값이 급등한 지역을 잡으려는 8·2대책이 나오자 오히려 양극화가 심화했다. 작년 8월부터 전월까지 전국 집값은 1.0% 올랐는데, 수도권이 2.52% 상승에 지방권은 0.4% 하락했다. 6대광역시는 0.5%의 상승률을 기록하는 동안 8개도는 집값이 1.0% 떨어졌다.

최근 약 1년간 경기도(1.21%)와 인천(0.81%)의 집값 상승률도 6대 광역시를 크게 웃돌았다. 전국에서 집값이 내려간 시 단위 이상 지역은 34곳에 달한다. 경기도 성남시가 7.72% 상승하는 동안 경남 거제시는 11.44%가 급락했다.

집값 규제와 도시재생이 동시에 펼쳐지는 시기가 됐다. 정부는 도시재생이 집값을 자극하는지를 고려해 최종 사업지를 정할 방침이다.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 등이 포진한 대도시보다는 지방권이 다수 들어갈 확률이 높은 셈이다.

정부는 쇠퇴한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중심시가지 및 근린재생사업, 노후 주거지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주거지재생 및 우리 동네 살리기 등을 추진한다. 생활인프라(사회간접자본) 측면에서 지역민에게 분명 도움이 되고 부동산에도 호재지만, 일자리와 도시경쟁력이 기반이 돼야 양극화가 해소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도시재생이 활성화하면 지방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저출산 등으로 자족기능이 약해지고 생활기반시설이 부족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그는 다만 "?은층의 1~2인 가구들은 일자리나 교육 등을 중요시하고 고령층도 대형 의료시설이 가까운 곳을 선호한다"며 "도시재생을 하더라도 낡은 주택은 그대로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극화 분위기가 바뀌긴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도시재생의 모범사례로 꼽히는 일본은 마루노우치 개발, 도쿄 미드타운 등을 통해 도시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목표로 디벨로퍼(부동산 개발업체·developer)의 참여를 독려했다"며 "우리나라 도시재생에서 민간분양의 성장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