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집값을 잡기 위한 초강력 대출규제가 시행된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자들이 느끼는 압박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출규제가 돈줄을 차단해 집을 사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면, 연준의 금리 인상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이나 시중금리 상승을 불러와 기존 대출자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을 가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은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해 2.00%~2.25%로 올렸다.

올해 들어 지난 3월과 6월에 이은 세 번째 인상이다. 연준은 또 오는 12월 추가 금리 인상도 전망했다.

이번 미 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기준금리 차이는 최대 0.75%p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부터 기준금리를 1.50%로 유지하고 있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하고 시중금리가 먼저 오를 확률도 있다.

최근 시중은행의 변동형과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결정짓는 주요지표는 모두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권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금리는 지난달 잔액기준 1.89%로, 2년 9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잔액기준 코픽스 금리는 지난해 8월 1.59%에서 한시도 쉬지 않고 12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에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잔액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대체로 4% 중후반으로 올랐다.

집값 상승을 잡기 위한 대출규제 강화도 이달 중순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대출자들을 옥죄고 있다.

지난 14일부터는 9·13 대책에 따라 집값 급등 지역의 고가·다주택자의 담보인정비율(LTV·Loan To value ratio)이 0%로 낮춰졌다.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조정대상지역)에서 집이 두 채 이상이면 LTV 0%, 집이 한 채라도 이사 등의 사유가 없으면 원칙적으로 LTV 0%, 공시가격 9억 원 넘는 집을 실거주가 아닌 용도로 사면 역시 LTV 0%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어 다음 달에는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Debt Service Ratio)이 강제성을 띤 관리지표로 도입된다.

가계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모두 더해 소득으로 나눈 DSR는 신용대출 원리금이나 전세보증금대출 이자까지 주택담보대출 원리금과 합쳐 심사하는 만큼 총부채상환비율(DTI·Debt To Income ratio)보다 부채 인식 범위가 한층 넓다.

금융당국은 DSR가 70∼80% 등 일정 비율을 넘는 경우 위험성이 큰 고(高) DSR 대출로 분류하고, 이런 대출이 전체 대출의 일정 비중을 넘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 같은 대출규제 강화는 금리 상승기와 맞물려 파급효과가 커질 수 있다.

시장금리가 뛰면서 무리하게 빚을 낸 대출자들의 이자상환 부담은 한층 무거워지는 데다, LTV는 줄고 DSR은 강화되며 신규 대출이나 대환대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미 채권시장에서는 한은의 연내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가 지난달 거시경제·채권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올해 중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측한 기관은 8곳으로, 연내 금리가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 기관보다 많았다.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