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지난 2016년 30분 연장됐던 주식 거래시간을 원상 복귀하자는 목소리가 높다.

거래시간 연장의 취지 중 하나가 '투자자의 거래 불편 해소'였지만 그 실효성을 찾기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업계 일각에서는 거래시간 연장 이후 지수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가 증가하면서 일반투자자의 혼란이 가중됐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거래시간 연장 이전 24개월 동안 주가지수선물과 옵션의 거래량은 각각 316만9천500여건, 3천722만6천여건이었다.

하지만 연장 이후 24개월 거래량은 선물이 402만여건, 옵션이 4천342만여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시스템거래 및 차익거래 시간의 확대로 대형자본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기관투자자와 외국인의 공매도, 파생상품 거래 등 투기성 거래가 이전보다 만연해진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마감시간 연장과 함께 투기성 거래가 늘면서 정보획득에 취약한 일반투자자들에게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킨 측면이 있다"며 "정보력의 열세는 장기투자보다 단기투자를 부추기고 이는 다시 투기성 거래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해외 거래소와의 시간 격차가 줄어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 것이란 예측도 빗나갔다.

거래시간 연장 후 외국인의 월평균 시가총액 회전율이 오히려 하락했기 때문이다.

월평균 시가총액 회전율은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이 거래한 금액을 보유한 시가총액으로 나눈 비율로, 투자자의 거래 규모를 반영한다.

외국인의 원평균 시가총액 회전율은 연장 전 23개월간 24.7%였지만 연장 후 23개월 21.1%로 3.6%포인트 줄었다.

12개월을 기준으로는 25.8%였던 회전율이 연장 후 19.7%로 6%포인트 넘게 감소했다.

거래대금 자체도 줄었다.

연장 전 1년동안 2천168조3천억원이던 거래대금은 연장 후에는 2천105조6천억원으로 3%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증시와의 거래시간 갭 축소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외국인 유인 효과는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거래대금도 거래시간 연장 후 1년간 오히려 감소하면서 둘 간의 상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jwchoi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