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면세점과 상생 없이 임대사업에만 몰두한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현재 30% 초반대에 그치는 항공수익 비중을 주요 허브 공항처럼 높여야 한다고 지적됐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작년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비항공수익은 1조6천14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수익의 66.4%를 차지한다. 인천공항의 비항공수익 비중은 3년째 높아지고 있다.





이중에서 상업시설사용료가 1조3천161억원에 달한다. 면세점과 은행, 식음료 등의 임대료로 벌어들인 수익이다. 전년과 비교하면 은행·환전소, 식음료 상업시설사용료는 각각 0.4%, 12.5% 줄었지만, 면세점 상업시설사용료는 18.3% 증가했다. 면세점 상업시설사용료는 1조279억원까지 확대했다.

인천공항 내에서 1㎡당 임대료가 가장 비싼 곳은 제1 여객터미널 DF3 구역이다. 월 1천600만원 수준인데 올해 2분기 명동 1층의 1㎡당 평균 임대료가 10만2천200원인 점을 고려하면 천문학적으로 비싸다고 윤 의원은 지적했다.

국제 돌발변수에도 인천공항은 상생하는 자세가 부족하다고 역설했다.

사드(THAD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로 중국에서 한한령(限韓令)이 내렸을 때 면세점 매출이 급감하자 일부 면세점은 위약금을 물고 철수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롯데는 당시 1천869억원의 위약금을 냈고 중소면세점인 삼익은 71억원을 위약금으로 부담했다.

쉽게 임대수익을 버는 인천공항이 불가항력적인 위험에 무관심했다고 윤 의원은 비판했다. 위약금을 내고 면세점이 일부 철수하자 새 사업자를 유치해 인천공항은 이중 수익을 벌었다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임대차 계약에서 건물주는 엄청난 갑의 위치에 있는 것이 사실인데 공공기관인 인천국제공항이 외부의 불가항력 요인이 발생했을 때 입점업체들의 고통을 분담하려는 자세가 부족하다"며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오랜 숙원사업인 입국장면세점이 가시화하는 상황에서 입국장면세점 이익도 얻게 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반드시 기존 입점면세점들의 손해를 고려해 적절한 임대료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인천국제공항이 '항공 허브'로서 경쟁력을 강화를 추진하려면 해외 주요 허브 공항들처럼 항공수익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지난 2015년 기준으로 독일 프라포트 공항의 항공수익 비중은 64%,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공항과 영국 히드로공항의 항공수익 비중은 각각 57%, 61%를 기록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